의대학장들, 유급·국시 구제 기대 일축…"새정부 출범과 무관"

연합뉴스 2025-04-16 00:00:26

학사 정상화 원칙 재확인…"정치상황 따라 학사유연화 안 돼" 수업 참여 촉구

오늘까지 13개大 본과 4년생 유급 확정…3개 학번 1학년 '트리플링' 현실화 우려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의대 학장들이 일각에서 제기되는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의대생 유급의 유예 가능성을 일축하며 학생들에게 수업 참여를 촉구했다.

의대 학장 단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대협회)는 15일 '40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에게 알립니다'라는 이름의 서신에서 이렇게 밝혔다.

의대협회는 "학생 대부분이 3월 말 2025학년도 등록을 통해 학교로 복귀했다"며 "지금부터 학생들의 역할은 수업에 참여해 정부가 2026년도 모집정원 3천58명을 빠르게 선언하도록 하고, 올바른 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한 거버넌스를 함께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급격한 외부 환경 변화가 있지만, 학생들이 현 상황과 전망을 냉정하고 지혜롭게 판단하길 바란다"며 학사 운영 3원칙을 설명했다.

의대협회는 먼저 "교육부,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는 2025학년도 학사 유연화 계획이 없음을 여러 번 확인했고, 각 의대와 학장은 이 방침에 예외를 둘 수 없다"며 "각 학교 학칙에 따라 유급이 결정되니 학생 스스로 피해가 없도록 책임 있게 행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의대 학사 정상화라는 정부 목표는 확고하고, 이는 새 정부 출범과 무관함을 알아야 한다"며 "정치적 상황이 학사 유연화 등의 여지를 열어줄 수 있다는 판단은 정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 "의학과(본과) 4학년은 각 대학이 정한 복귀 시한을 넘기면 의사 국가시험 실기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며 "각 대학이 정한 1학기 성적 마감 시점까지 임상 실습과 평가가 마무리되지 못해 유급이 결정되면 원서 접수는 불가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유급 시한 전에 수업에 참여하지 않으면 24·25학번의 분리 교육은 불가하거나 의미가 없다"며 "정해진 수업 참여 기한을 넘겨 후배의 미래와 의사 양성 시스템에 어려움을 주지 않도록 모두 숙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의대협회는 의대와 의전원의 의학과 4학년 유급 예정일도 안내했다.

의대협회에 따르면 이날까지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 울산대 등 13곳의 유급이 확정되고, 이달 말 동국대 의대를 마지막으로 32곳의 4학년이 유급될 수 있다.

24·25학번이 대거 유급되면 26학번까지 3개 학년이 겹치는 '트리플링'이 현실화해 1학년 수가 1만명에 달할 수 있다. 교육계와 의료계 모두 1만명 동시 수업은 불가능한 것으로 본다.

so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