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외무차관 "동맹 구축이나 상호군사지원은 불포함"
러 "美·이란 협상 환영…도움 제공할 준비돼"
(모스크바=연합뉴스) 최인영 특파원 = 러시아 하원(국가두마)이 8일(현지시간) 러시아와 이란이 체결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조약을 비준했다고 타스 통신이 보도했다.
이 조약은 지난 1월 17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이 정상회담 후 서명한 것으로 2001년 양국이 체결한 상호 관계와 협력 원칙에 관한 조약을 대체한다.
이 조약으로 러시아와 이란은 전략적 동반자로 관계를 격상하고 정치·군사·경제적 협력을 강화하게 됐다.
양국은 조약에서 공동 안보 위협에서 서로 돕기로 합의했지만, 러시아가 지난해 6월 북한과 체결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북러조약)에서 명시한 '상호 군사 지원' 관련 내용은 포함하지 않았다.
이날 하원에서 조약 비준을 요청한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은 "조약 체결은 이란과 군사 동맹을 구축하거나 상호 군사 지원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만약 당사자 중 한 국가가 침략당하면 다른 국가가 침략자에 군사 등 지원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며 유엔 헌장과 다른 국제법으로 분쟁을 해결할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루덴코 차관은 또 "이 조약은 일방적인 강압적 조치에 대응하는 방법을 자세히 다룬다"며 "양국은 이들을 명백히 국제법에 위배되는 비우호적인 행동으로 규정하며 해로운 조치를 제거하기 위해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 조약은 새로운 역사적 단계에서 러시아와 이란의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기본 원칙을 수립한다"며 "양국은 공정한 다극 글로벌 체계 구축을 목표로 광범위한 분야에서 협력을 심화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국방을 비롯해 대테러, 에너지, 금융, 교통, 산업, 농업, 문화, 과학기술 등 전 분야를 포괄하는 이 조약은 20년간 유지되며 이후 자동으로 5년 연장될 예정이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으로 서방과 관계가 악화한 이후 중국, 이란, 북한 등 반서방 국가들과 관계를 강화해왔다. 올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정부가 들어선 이후 미국과 관계 개선을 모색하고 있지만 반서방 밀착도 계속하고 있다.
러시아는 미국과 이란이 오는 12일 오만에서 핵 협상을 할 것이라고 발표한 것을 환영하며 도움을 제공할 준비가 됐다는 입장을 밝혔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는 특정한 접촉이 오만에서 계획된 것을 안다"며 "이는 이란을 둘러싼 긴장의 완화를 이끌 수 있기 때문에 환영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루덴코 차관도 미국과 이란이 러시아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할 경우 "모든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이날 모스크바에서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와 이 합의를 승인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231호가 만료된 이후의 상황을 검토하기 위한 러시아, 이란, 중국의 전문가급 협의가 열렸다고 밝혔다.
러시아, 이란, 중국 3국은 지난달 14일 중국 베이징에서 외교차관급 회담을 열어 이 내용을 논의한 바 있다.
abbi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