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연합뉴스) 정종호 기자 = 과거 경남 함안지역에서 번성했던 가야 맹주국 아라가야의 독특한 축성기법이 확인됐다.
함안군은 지난해 12월부터 아라가야 왕성인 봉산산성을 발굴 조사한 결과 산성에서 흙과 돌을 섞어 성을 쌓는 '토석혼축' 기법이 사용된 것을 확인했다고 8일 밝혔다.
이 기법은 불리한 지형 조건을 극복하고, 구조물 안전성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 쓰인다.
봉산산성은 사적인 가야리 유적 배후에 위치한 해발 271m 높이의 삼봉산에 조성된 산성으로 내성과 외성으로 구성돼 있다.
전체 둘레는 약 2.1㎞다.
이번 조사에서 봉산산성은 수직으로 솟은 낮은 절벽을 성벽으로 활용하고, 가파른 경사면에서 토석혼축 기법이 적용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아라가야 산성으로 알려진 함안 안곡산성과 칠원산성에서도 공통으로 확인되는 특징이다.
군은 이를 토대로 토속혼축 기법이 아라가야의 독특한 축성기법이라고 설명했다.
군 관계자는 "봉산산성은 아라가야의 관방체계를 확인할 수 있는 아라가야 핵심 유적이다"며 "상반기 중 발굴조사를 완료하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경남도 기념물 지정을 추진해 봉산산성에 대한 체계적인 보존 대책 등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jjh23@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