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분 70.6% 매각 논의…SK "여러 방안 검토, 확정된 바 없어"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SK그룹이 리밸런싱(사업 재편) 차원에서 반도체 웨이퍼 제조사인 SK실트론 경영권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SK그룹 지주사 SK㈜는 최근 주요 사모펀드와 접촉하며 SK실트론 경영권 매각 방안을 타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 대상 지분은 SK㈜가 직접 보유한 지분 51%와 총수익스와프(TRS) 계약으로 묶인 19.6%를 합친 70.6%가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SK실트론은 반도체 칩의 핵심 기초소재인 반도체용 웨이퍼를 생산하는 국내 유일 전문기업이다. 12인치 웨이퍼 기준 세계 시장 점유율 3위다.
2017년 LG그룹으로부터 인수한 LG실트론이 모태다. 당시 SK그룹은 LG그룹이 보유한 LG실트론 지분 51%를 6천200억원에 인수했고, 이어 잔여 지분 49% 중 KTB PE(사모펀드)가 보유한 19.6%를 TRS 계약으로 추가 확보했다.
또 우리은행 등 보고펀드 채권단 보유 지분 29.4%를 최태원 SK그룹 회장 개인이 같은 방식으로 확보했다. 최 회장 지분은 이번 매각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에서 거론되는 SK실트론의 몸값은 5조원 안팎이다. 따라서 이번 매각이 성사되면 SK㈜는 현금을 3조원가량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다만 SK실트론 경영권 매각설을 두고 SK 측은 "리밸런싱 차원에서 여러 가지 방안을 검토 중이나 구체적으로 확정된 바는 전혀 없다"고 설명했다.
SK그룹은 작년 초부터 사업 전반에 걸쳐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하는 리밸런싱을 필두로 고강도 쇄신 작업을 해왔다.
배터리와 석유화학 등 주력 사업이 부진을 겪는 가운데 방만한 투자로 인한 사업 비효율과 재무 부담이 가중된 영향이다.
특히 지주사 SK㈜는 전략적으로 보유 포트폴리오의 적극적인 자산 효율화를 통해 재무 구조 개선에 속도를 내왔다.
SK㈜ 보유 지분 가치 중 약 80%가 자회사 지분이어서 자회사 성과와 재무구조가 지주사 가치에 직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앞서 SK㈜는 작년 12월에는 특수가스를 생산하는 100% 자회사 SK스페셜티 지분 85%를 사모펀드 한앤컴퍼니에 매각하기 위한 주식매매계약(SPA) 체결을 승인했다.
매각 지분 가치는 약 2조7천억원 규모로, SK㈜는 SK스페셜티 지분 매각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재무 건전성 제고에 투입하기로 했다.
또 인공지능(AI)과 에너지설루션 등 그룹 차원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 재원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ric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