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씨 정치자금법 혐의 3차 공판, 전 미래한국연구소장 증언
(창원=연합뉴스) 이준영 기자 =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정치브로커' 명태균 씨와 국민의힘 김영선 전 의원 등에 대한 3차 공판이 8일 열린 가운데 이날 증인으로 나선 김태열 전 미래한국연구소장이 명씨와 김 전 의원을 보호하기 위한 수사기관에 거짓 진술을 했다고 밝혔다.
김 전 소장은 이날 창원지법 형사4부(김인택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3차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김 전 의원 측 반대 신문 과정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김 전 의원 측이 '수사 기관에서 처음에는 김 전 의원이 취업시켜준 게 아니라 김 전 소장 의지로 시사경남에 들어갔다고 진술한 게 맞는지'를 묻자 "김 전 의원을 보호해주려고 그렇게 거짓으로 이야기했다"고 증언했다.
또 김 전 의원 측이 '명씨가 김 전 의원에게 창원에서 기반 닦고 도지사 도전하자고 했으며, 인지도를 쌓기 위해 김 전 의원을 데리고 다니고 미래한국연구소도 설립하는 등 지역 활동을 했다고 말한 (김 전 의원 회계책임자였던) 강혜경 씨 진술이 사실이라고 경찰, 검찰에서 진술한 것이 맞느냐'고 묻자 "그렇게 진술한 것은 맞지만 그것도 다 거짓말"이라고 답했다.
이어 김 전 의원 측이 '2018년 12월경 시사경남을 인수해서 김 전 의원 이름을 빌려 미래한국연구소를 설립했고 증인이 미래한국연구소 대표였다고 경찰에 진술한 게 맞는지' 묻자 역시 "그렇게 진술했지만 김 전 의원과 명씨를 보호하기 위해 거짓으로 진술했다"고 증언했다.
이후 재판장이 '그러면 이제 보호 안 해야겠다고 마음먹고 진술을 번복한 이유가 무엇이냐'고 묻자 "지난해 10월 압수수색을 당했고 이 사건이 세상에 드러나면서 명씨가 용산을 협박하다가 사건이 커졌다"며 "이제 제가 보호할 수도 없고 감당할 수도 없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날 김 전 의원 측은 김 전 의원이 미래한국연구소 업무에 관여한 것이 없으며, 여론조사 과정에서 김 전 소장과 명씨 등 간 이뤄진 금전 관계에 대해서도 모른다는 취지로 김 전 소장에 대한 반대 신문을 이어갔다.
김 전 소장은 대체로 김 전 의원이 여론조사 등 미래한국연구소 업무에 직접 지시 등 관여한 것은 없다고 답했다.
하지만 김 전 의원 측이 '김 전 의원이 여론조사 영업과 관련해 명씨나 강씨에게 말하는 것을 들은 적 있느냐'는 질문에는 "김 전 의원이 명씨와 동석하는 것만으로도 다른 사람들 신임을 얻을 수 있다"며 그런 행동 자체가 영업이라는 취지로 증언했다.
lj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