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공개 23건 등 54건 전시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기자 = 매년 봄·가을에 전시를 여는 서울 성북동 간송미술관이 올해 봄 전시로 부채에 쓰고 그린 그림과 글씨인 '선면(扇面) 서화'를 소개한다.
9일 시작하는 '선우풍월'(扇友風月. 부채, 바람과 달을 함께 나누는 벗)'전은 간송미술관이 1977년 열었던 부채 전시 이후 48년 만에 여는 선면서화 전시다.
우리 선조들에게는 겨울에는 달력을, 여름에는 부채를 선물하는 풍습이 있었다. 시원한 바람을 선사하는 실용적인 의미가 컸지만, 특히 조선 후기에는 글씨와 그림을 쓰고 그려 넣은 예술품으로서 부채 그림이 유행했다.
전시에서는 간송미술관이 소장한 133점의 선면서화 중 54건(55점)을 선보인다. 이 중 23건은 처음 공개되는 것들이다.
2층 전시실에서는 조선과 중국 청나라의 선면서화를 소개한다. 조선의 선면서화는 모두 조선 후반기 작품들로, 산수화부터 사군자, 동물과 식물을 그린 화훼영모화까지 당시 회화 경향을 살펴볼 수 있다.
산수화 중에서는 조선 문인들이 가보고 싶었던 중국의 명승이나 관념 속 이상향을 담은 그림들이 눈에 띈다. 진재 한용간이 중국 항주의 서호 풍경을 그린 '서호육교'와 혜천 윤정이 중국 강남 지방의 절경을 그린 '삼오팔경'은 모두 처음 공개되는 것들이다.
매화 그림으로 유명한 우봉 조희룡이 부채에 그린 묵란화 작품도 2점 전시된다. 앞선 시기의 '난생유분'이 추사 김정희가 강조한 '문자향 서권기'(文字香 書卷氣, 문자의 향기와 서책의 기운)의 느낌을 담고 있다면 좀 더 자유분방하고 현란한 '분분청란'은 전라도 유배 이후 변화된 경향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함께 전시되는 중국 선면화는 대부분 한국의 추사 학파와 교류했던 청나라 문인들의 작품으로, 양국 문인들의 교유 관계를 보여준다.
청나라 학자 섭지선이 조선 정조의 사위이자 문인화가였던 홍현주에게 보낸 '청죽'은 제목 그대로 바람에 나부끼는 푸른 댓잎을 그린 부채에 그려 여름에 선물한 작품이다.
1층 전시실에서는 20세기 초 우리나라 근대 서화계의 기틀을 다진 작가들의 부채 그림이 소개된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인 미술교육기관인 서화미술회와 우리나라 최초의 미술인 단체인 서화협회에서 활동했던 서화가들의 작품들로, 안중식, 조석진, 김은호, 이상범, 변관식, 고희동 같은 당대 유명 화가들의 부채 그림들을 볼 수 있다.
전시에서는 부채에 사용된 종이인 '냉금지'(冷金紙)도 소개된다. 금이나 은, 놋쇠, 구리 등의 금속조각을 붙여서 장식한 종이로, 청나라에서 조선으로 유입됐던 것으로 보인다.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접선 외에도 파초 모양을 본떠 만든 파초선 등 다양한 형식으로 만들어진 부채그림들도 볼 수 있다.
김영욱 간송미술관 전시교육팀장은 "간송미술관이 소장한 조선 선면서화의 가장 큰 특징은 추사 김정희의 작품 비중이 높다는 점"이라면서 "20세기에 들어서며 김정희와 추사학파의 작품 수집 유행이 높아졌던 미술시장의 분위기와 맞물려 있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무엇보다 추사 김정희, 겸재 정선, 단원 김홍도 순으로 작품을 구매한 초기 간송 컬렉션의 성격과 그 궤를 같이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고 덧붙였다.
전시는 다음 달 25일까지. 유료 관람.
zitro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