印정부, '美상호관세'에 보복보단 무역협정에 집중키로

연합뉴스 2025-04-07 12:00:04

"공정한 무역협정 추진…상품·서비스 모두 논의 대상"

인도 항만의 컨테이너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인도 정부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해 '보복 관세'로 대응하기보다는 현재 협상 중인 무역협정 체결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7일 인도 이코노믹타임스 등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인도 정부 관계자는 지난 5일 진행된 언론 백브리핑을 통해 "인도는 미국과 대결이 아닌 대화를 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인도는 미국과 무역협상을 먼저 시작한 국가 중 하나로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다른 아시아 국가들보다 더 유리한 입장"이라며 "미국과 균형 잡힌 공정한 무역협정을 추진할 계획이며 모든 사안은 협상 테이블 위에 있고, 상품과 서비스 모두 논의 대상"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관계자는 미국 정부가 상호 관세를 발표하며 관세 중단 조건으로 말했던 '상호 비대칭적 무역 관계를 시정하기 위한 의미 있는 조치를 취하는 국가'에 인도가 들어가도록 면제 조항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로이터 통신은 인도 정부가 230억 달러(약 33조8천억원)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하를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인도는 미국을 상대로 연간 450억 달러(약 65조원) 정도의 무역흑자를 얻고 있으며 이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대선에서 인도를 "무역에서 매우 큰 악당"이라 부르며 관세를 통해 불균형을 바로잡겠다고 공언했다.

이 때문에 인도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 후 미국을 겨냥해 각종 관세 인하에 나섰고,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지난 2월 백악관을 찾아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산 무기 구매, 에너지 수입 확대 등을 약속했다.

또 올해 가을까지 양국 간 무역 협정 체결을 통해 관세 갈등을 해결하기로 합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인도산 수입품에 26%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베트남(46%), 중국(34%), 인도네시아(32%) 등 다른 경쟁국과 비교해 낮은 수치다.

하지만 관세 영향으로 인도 경제성장률이 0.2∼0.4%포인트 둔화할 수 있으며 수천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laecorp@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