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유일무이한 칵테일…잘 완성할 책임 있어"
(서울=연합뉴스) 황재하 기자 = "지금 이 생은 태어나면서부터 주어진 것과 스스로 결정한 것들이 뒤섞여 만들어진 유일무이한 칵테일이며 내가 바로 이 인생 칵테일의 제조자다. 그리고 나에게는 이 삶을 잘 완성할 책임이 있다."('어떤 위안' 에서)
소설가 김영하(57)가 6년 만에 발표한 산문집 '단 한 번의 삶'은 사적이고 내밀한 가족사와 함께 저자 자신의 삶을 무덤덤한 어조로 담아냈다.
유료 이메일 구독 서비스 '영하의 날씨'에 지난해 연재했던 글 열네 편을 수정하고 다듬어 묶은 이 책은 "내 앞에 놓인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까?"라는 질문을 향한다.
저자는 책의 머리말 격인 '일회용 인생' 첫 문장을 "인생은 일회용으로 주어진다"라고 썼다. 그러면서 삶이 단 한 번이라는 일회성, 그리고 돌이킬 수 없다는 불가역성이 우리 삶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고찰한다.
이어지는 글에서 저자는 돌아가신 어머니와 아버지 이야기를 풀어낸다.
일본에서 태어난 아버지는 학교에 보내주지 않는 집에서 가출해 여군들에게 밥을 해주는 곳에서 일하고 부뚜막 옆 쪽방에서 생활하며 야간에 상업고등학교를 다녔다. 이후 군인이 되어 결혼하고 가정을 꾸렸다.
저자는 그런 아버지와 평생 서로 기대와 실망이 엇갈렸다고 회고한다. 아버지는 글씨를 잘 써야만 성공한다며 우물 정(井)을 하루 천 번 쓰게 하지만, 저자는 끝내 글씨를 멋지게 쓰지 못하고 작가가 된 뒤에도 워드프로세서로 글을 쓴다.
어머니는 평생 자신의 결혼 전 삶을 자녀들에게 자세히 털어놓지 않고, 저자는 그런 어머니의 장례식에 모여든 조문객들의 말을 듣고 어머니가 20대 때 군인이었던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다.
이처럼 책에 담긴 이야기들은 건조한 문체로 표현돼 있음에도 저마다 무거운 사연을 담고 있어 눈길을 끈다.
워낙 내밀한 가족사를 담고 있어서인지 저자는 책 말미에 실은 후기에 "다른 작가의 책을 읽다 보면 때로 어떤 예감을 받을 때가 있다"며 "아, 이건 이 작가가 평생 단 한 번만 쓸 수 있는 글이로구나. 내겐 이 책이 그런 것 같다"고 고백한다.
저자는 또 "원래 나는 '인생 사용법'이라는 호기로운 제목으로 원고를 쓰기 시작했다"며 "하지만 곧 내가 인생에 대해서 자신 있게 할 말이 별로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털어놓았다.
아울러 "내가 알고 있는 것은 그저 내게 '단 한 번의 삶'이 주어졌다는 것뿐"이라며 "많은 이들이 이 '단 한 번의 삶'을 무시무시할 정도로 치열하게 살아간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래서 그냥 그런 이야기들을 있는 그대로 적기로 했다. 일단 적어놓으면 그 안에서 눈이 밝은 이들은 무엇이든 찾아내리라. 그런 마음으로 써나갔다."
예스24에 따르면 '단 한 번의 삶'은 3월 마지막 주와 4월 첫째 주에 2주 연속으로 종합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했다.
1995년 소설 '거울에 대한 명상'을 문예지에 발표하며 데뷔한 김영하는 장편 '퀴즈쇼', '너의 목소리가 들려', '살인자의 기억법', 단편집 '호출', '오빠가 돌아왔다' 등을 펴냈다. 산문집은 2019년 발간한 '여행의 이유' 이후 6년 만이다.
복복서가. 200쪽.
jae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