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 파괴" vs "물난리 예방"…낙동강청 간담회 주목
(합천=연합뉴스) 정종호 기자 = 경남 합천군에서 진행되는 황강 하천환경정비사업을 둘러싸고 환경단체와 주민 간 갈등이 커지는 모양새다.
지역 환경단체인 낙동강네트워크 등은 낙동강유역환경청(이하 낙동강청)과 오는 7일 합천 황강 하천환경정비사업과 관련한 간담회를 한다고 6일 밝혔다.
낙동강청은 현재 합천지역 5개 지구에서 황강 하천환경정비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 사업은 황강 일대 침수피해 예방을 목적으로 합천군 용주면에서 청덕면까지 황강을 따라 하도 준설과 수목 제거, 제방 쌓기 등을 하는 내용이 골자다.
지난해 본격 시작된 이 사업은 2028년 완료하는 것이 목표다.
그러나 환경단체는 최근 황강 일대 현장 조사에 나선 결과 이 사업 추진으로 인해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는 어류 '흰수마자' 서식지가 위협받는 등 생태계 파괴 우려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낙동강청에 공사 전면 중지를 촉구하고 있다.
앞서 환경단체는 이 같은 주장을 사업 발주처인 낙동강청에 전한 바 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낙동강청이 환경단체 주장에 대한 입장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단체 주장과 달리 합천 주민들은 물난리 예방을 이유로 이 사업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주민들은 최근 성명을 내고 "황강 하천환경정비사업은 수해 방지를 위한 공익사업이다"며 "환경단체로 인해 공사가 중단된다면 수해 발생 시 합천군민은 환경단체에 피해 보상을 청구할 것"이라는 강경한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합천지역은 2020년 대규모 홍수로 414.8㏊의 농경지가 침수되고, 가축 약 2천마리가 폐사하는 피해를 겪은 바 있다.
양측 입장이 상반된 탓에 해당 사업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환경단체와 주민 간 논의 일정은 구체적으로 잡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낙동강네트워크 관계자는 "최근 주민들에게 이 사업과 관련한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 간담회 일정을 제시했고, 현재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jjh23@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