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전설' 잡스의 후예?…"한심한 저커버그, 유치한 머스크"

연합뉴스 2025-04-06 00:00:23

미국 IT업계 전문기자가 쓴 신간 '테크 천재들의 연대기'

스티브 잡스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오 와우…."

스티브 잡스의 여동생 모나 심프슨에 따르면 잡스가 죽어가며 한 마지막 말이었다.

애플 창업자인 잡스는 전 세계 기업의 혁신을 좌지우지하는 실리콘밸리의 '쿠빌라이 칸'이었다. 평생의 라이벌이었던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전 회장만이 그의 명성에 어느 정도 견줄 수 있었다. 그는 여타 다른 빅테크 회장들을 압도했다.

잡스는 끊임없이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인물이었다.

다른 거대 기술기업들은 방향을 전환하는 능력을 중시했고, 안정성보단 속도와 혁신을 통한 파괴에 몰두했다. 그러나 잡스의 애플은 달랐다. 그는 "최고의 아이디어가 이겨야 한다"고 주장했고, 실리콘밸리에서 통용되는 속도와 파괴의 개념을 완전히 거부했다. 그는 디자인과 기술을 제대로 갖추기 위해 필요한 만큼 오래 작업해야 한다고 믿었다. 이는 잡스 사후에도 애플의 지속적인 특징 중 하나가 됐다.

잡스의 위대함은 단순히 테크 디바이스만 변화시킨 게 아니라 음악, 영화, 커뮤니케이션, 사진까지 변화시켰다는 데 있다. 그는 피할 수 없는 혁신을 향해 나아가는 동안, 직관적인 일련의 기술 창출을 구상하고 관리 감독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

미국의 대표적인 테크 전문기자인 카라 스위셔가 기억하는 잡스의 모습과 그가 구현한 기업 철학이다. 스위셔가 쓴 '테크 천재들의 연대기'(글항아리)는 거대 기술기업들이 막 움트기 시작한 1990년대부터 비교적 최근까지 빅테크 산업을 일군 천재들의 이야기를 다룬 책이다.

잡스를 비롯해 구글을 설립한 래리 페이지,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 페이스북(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등 빅테크 기업들을 일군 창업자들을 인터뷰하고 취재한 내용들을 담았다.

책에 따르면 인격적으로도, 실력으로도 탁월했던 잡스에 견줘 저커버그는 "순진한" 애송이에 불과했다. 그는 끊임없이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잡스와는 달리 매력이나 밀고 당기는 능력이 거의 없었다. 말을 더듬고, 횡설수설하며 눈을 마주치지도 않았다. 대화 중에는 몸을 흔드는 경향(틱의 일종)이 있었다. 무엇보다 철학이 부재했다. 말과 진실 사이에선 말을 택했고, 속도와 완성도 사이에선 속도를 택했으며, 규모와 안전 사이에선 규모를 택했다.

철학이 없는 그가 수십억명의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페이스북의 수장이라는 건 비극이었다. 저자는 "저커버그는 자신의 디지털 플랫폼이 가진 힘을 억제할 준비가 한심할 정도로 돼 있지 않았다"고 평가한다. 그러면서 "그는 기술의 역사에서 가장 부주의하고 위험한 남자 중 한명이지만, 본인은 그 사실조차 몰랐다"고 비판한다.

일론 머스크

최악은 따로 있었다. 일론 머스크다.

저자는 그를 보면 한 편의 멜로드라마를 보는 것 같다고 말한다. 등장인물이 너무 별로인 드라마 말이다. 또한 잡스가 살아 있었다면 2023년 버전의 머스크를 혐오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머스크는 늘 인터넷에 떠도는 음습한 밈에 깊이 빠져 있었고, 슬픔이나 짜증, 기쁨을 표현하며 자기감정을 쉽게, 그리고 어쩌면 너무 드라마틱하게 드러내곤 했다. 또한 자기 나이보다 한참 어리게 행동하는 걸 좋아했다.

저자는 바보짓이 쌓이고 쌓여 어느 것 하나 트위터(X)를 더 낫게 만들지 못하는 것을 보고 모든 희망을 버렸다고 말한다. 저자는 "머스크는 학교 양아치 버전의 '표현의 자유' 명목 아래 트위터를 알 수 없는 곳으로 인도했다"며 나아가 "더 큰 피해를 일으킬수록 더 신경을 안 쓰는 듯했다"고 비판한다.

"내가 테슬라의 일론이나 스페이스X의 일론에게 항상 동의한 건 아니지만, 트위터의 일론은 실질적인 피해를 끼치고 좋은 일은 거의 하지 않았다. 실제로 트위터의 일론은 진짜 재수 없는 인간이었다."

책은 이들 외에도 잡스 이후 그나마 돋보이는 역할을 했던 제프 베이조스, 구글의 속내를 읽지 못해 결국 더 큰 성장을 하지 못했던 야후 창업자 제리 양, 엉뚱한 천재였던 구글의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 등도 함께 조명한다.

최정민 옮김. 408쪽.

buff27@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