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비오 장관 "전 세계 인도주의 지원 60∼70% 부담은 불공평"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미국이 미얀마 강진 피해 지원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나온 가운데 약 100억원을 추가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기 행정부 들어 대외 원조를 삭감한 미국은 이러한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5일 로이터통신과 AFP통신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는 미얀마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해 700만달러(약 102억원)를 추가 지원하겠다고 전날 밝혔다.
태미 브루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대피소, 식량, 의료용품, 식수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지난달 28일 발생한 규모 7.7 강진으로 미얀마에서는 수천개 건물이 붕괴해 많은 사람이 잔해에 깔렸다.
군사정권은 이날 오전 기준 사망자가 3천354명, 부상자가 4천850명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세계 각국과 국제구호단체들이 앞다퉈 지원에 나선 가운데 미국은 앞서 200만달러(약 29억원)의 원조를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1억 위안(200억원) 규모 구호물자와 함께 가장 먼저 대규모 구조 인력을 파견한 중국과 대비됐다.
러시아와 인도 등도 구조대를 미얀마로 보내는 등 적극적인 '재난 외교'에 나서고 있다.
미얀마 안팎에서는 '세계 1위 원조국' 미국의 대응이 느려지고 존재감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왔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이와 관련해 "우리는 세계의 정부가 아니다"라며 인도주의적 지원은 계속하겠지만 다른 우선순위와 균형을 맞춰야 한다고 전날 말했다.
그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외교장관회의가 열리는 벨기에 브뤼셀에서 취재진에 "중국은 매우 부유한 나라이고, 인도도 부유하다"며 "세계에는 다른 나라도 많고, 모두가 함께 지원금을 내야 한다"고 말했다.
루비오 장관은 "미국이 전 세계 인도주의 원조의 60∼70%를 계속 부담하는 것은 공평하지 않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미얀마 지원이 늦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그곳에는 미국을 좋아하지 않는 군정이 있다"며 "그들은 우리가 원하는 방식으로 활동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고, 이는 우리의 대응에 방해가 됐을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과 동시에 미국의 해외원조를 90일간 중단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다. 미국의 대외 원조 기관인 국제개발처(USAID)는 해체 수순을 밟고 있다.
doubl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