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위' 파나마 前대통령, 망명 허용된 니카라과로 이동 무산

연합뉴스 2025-04-05 04:00:08

니카라과서 파나마 정부 비판하며 마르티넬리 입국 거부 통보

리카르도 마르티넬리 파나마 전 대통령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파나마에서 비위 행위로 징역형을 확정받은 리카르도 마르티넬리(73) 전 대통령의 니카라과 망명 출국이 무산됐다.

파나마 외교부는 마르티넬리 전 대통령에게 부여했던 안전 이동 권한 시한이 만료됐다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파나마 외교당국은 보도자료[https://x.com/CancilleriaPma/status/1908019312532549883/photo/2]에서 "외교 채널을 통해 필요한 모든 서류를 보냈음에도 니카라과 당국은 기한 내에 응답하지 않았다"면서 "마르티넬리 전 대통령에게 망명지로의 이동을 허락했던 결정 시효는 3일 오후 11시 59분에 소멸했다"고 설명했다.

현지 일간 라프렌사파나마는 니카라과의 다니엘 오르테가·로사리오 무리요 정부에서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현 대통령에 대한 '불만'을 품고 있다고 전했다.

오르테가 대통령의 부인인 무리요는 최근 개헌을 통해 '공동 대통령' 직위를 확보하고 외교 분야에서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는데, 파나마가 중미 지역 국가 협의체에서 니카라과를 견제하고 있다는 취지의 주장을 펼치고 있다.

마르티넬리 망명과 관련해서 무리요는 관영 언론을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파나마가 마르티넬리에 대해 국제형사경찰기구(인터폴) 적색수배를 요청해 놓고 망명 이동을 허용하는 건, 우리 정부를 곤경에 빠트리려는 매복 공격"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고 니카라과 언론 라프렌사는 보도했다.

인터폴 적색수배가 내려지면 인터폴에 가입한 전 세계 경찰 등에 수배자의 사진과 지문 등이 공유되고 검거 시 수배한 국가로 압송된다.

파나마 정부는 그러나 인터폴 적색수배 절차 수행보다 망명 출국을 허용한 결정이 우선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고 한다.

마르티넬리 전 대통령은 2009∼2014년 재임 당시 불법적인 방식으로 빼돌린 국가 예산으로 이 나라 미디어 대기업인 '에데사'(EDESA) 등 2곳의 회사 지분을 구입하는 데 관여했다.

공공 인프라 계약 눈속임으로 빼낸 자금은 4천391만 달러에 이른다.

파나마 대법원은 지난해 2월 마르티넬리 전 대통령에 대해 128개월 징역형과 1천920만 달러(255억원 상당) 벌금을 확정했지만, 마르티넬리 전 대통령은 구금을 피해 파나마시티에 있는 니카라과 대사관에서 1년 넘게 생활해 왔다.

니카라과 정부는 마르티넬리 전 대통령의 망명 신청을 일찌감치 받아들인 상태였다.

walde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