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파면 후 SNS에 "아픔 이겨내고 앞으로 나가자"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4일 파면되면서 그동안 윤 전 대통령의 복귀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였던 '보수 잠룡'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조기 대선판에 뛰어들지 관심이 쏠린다.
김 장관은 윤 전 대통령의 탄핵 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된 직후부터 차기 지도자 선호도 조사에서 줄곧 보수 진영 선두를 달리고 있다.
윤 전 대통령 탄핵 초기부터 그에 대한 지지 및 탄핵 반대 입장을 직설적으로 표현한 것이 일부 보수층의 결집력을 자극해 지지도를 높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12·3 비상계엄 사태 후 국회 현안 질의 때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의 국무위원 전원 사과 요구 당시 홀로 끝까지 받아들이지 않은 것 또한 보수층에 강단 있게 비쳤다는 해석도 있다.
하지만 김 장관은 윤 전 대통령 파면 직전까지도 그의 복귀를 바란다는 입장만 밝혔을 뿐 대선 출마와 관련한 질문에는 극도로 말을 아꼈다.
'조기 대선 시 출마 의향이 있느냐'는 잇따른 언론의 질문에 "보궐 선거는 대통령이 궐위돼야 하는데 나는 궐위되지 않길 바란다. 궐위를 가정한 답변은 적절치 않다"는 등의 반응을 보이며 선을 긋는 모습을 보였다.
이날 탄핵 인용 후에도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서 또다시 파면된 것이 안타깝다. 이 아픔을 이겨내고, 오늘의 어려움을 극복해 더 위대한 대한민국으로 발전해 갈 수 있도록 국민 모두 힘을 모아 앞으로 나가자"고 페이스북에 올렸을 뿐 대선과 관련한 언급은 없었다.
김 장관은 이날이 평일이었지만 비공식 일정만 소화하면서 외부 노출을 자제했다. 헌재 선고 또한 집무실이 아닌 서울 모처에서 지켜본 것으로 전해졌다.
당장은 현직 국무위원인 그가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에 등록할지, 한다면 그 시점이 언제일지가 관심이다. 국민의힘 잠룡들은 내주부터 등록을 시작해 본격적인 경쟁 체제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국무위원과 광역단체장 등은 대선에 출마하려면 선거일 기준 30일 전에 사퇴해야 한다.
하지만 당내 경선의 경우 제한이 없어 김 장관은 경기지사 시절인 2012년 18대 대선 때도 새누리당 경선에 지사직을 유지한 채 참여했고, 경선 탈락 후 원래 자리로 돌아간 바 있다.
bookmani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