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계산 방식·과학적 근거 불명확…양국 무역 상호보완성 반영 못해"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미국 정부가 대만에 32%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대만 정부는 불합리한 처사로 엄중히 항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3일 대만 중앙통신사(CNA)와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대만 행정원은 이날 성명을 내고 미국이 대만에 적용한 상호관세율에 대해 "명백히 불합리하다고 판단하며 매우 유감으로 미국에 엄중히 항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리후이즈 행정원 대변인은 성명에서 "(미국의 세율 제안은) 대만과 미국 간의 경제·무역 실제 상황을 반영하지 않았고 대만에 공정하지 못하다"고 말했다.
리 대변인은 "우선 미국의 상호관세 계산 방식과 과학적 근거, 국제무역 이론적 기초가 불명확하고, 대만과 미국 간 무역 구조의 높은 상호보완성과 실질적 무역관계를 반영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최근 수년간 대만의 대미 수출과 무역흑자가 증가한 것은 반도체와 인공지능(AI) 관련 제품에 대한 미국 내 수요 급증과 트럼프 1기 당시 대중 관세 부과 및 기술 규제와 같은 국가안보 정책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리 대변인은 "(이로 인해) 대만 기업의 공급망이 대만으로 이전되고 대만 정보통신 제품에 대한 미국 수요가 증가했다. 이는 대만이 미국 경제와 국가안보에 크게 기여한 것인데 오히려 막대한 관세가 부과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미국이 문제 삼아온 환적 문제와 관련해서도 "대만은 이미 관련 조치를 취해 적극적으로 조사하고 있었다"며 태국(상호관세율 36%)과 같이 환적 문제가 있는 국가와 비슷한 관세율이 적용된 것도 불합리하다고 주장했다.
리 대변인은 줘룽타이 행정원장(총리 격)이 경제무역협상판공실에 이번 상호관세율의 불합리함과 불공정성을 점검하라고 지시했으며, 미국 무역대표부에 엄중히 항의해 설명을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inishmor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