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원전 추진된 노물리·석리 원전 찬성 현수막
(영덕=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산불 피해를 본 경북 영덕 해안마을 주민 사이에 원자력발전소 유치 움직임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3일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에서 만난 한 70대 주민은 "산불 때문에 마을 주택 80%가 탔는데 복구하느라 이중으로 돈 들이지 말고 원자력발전소를 지으면 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또 다른 70대 주민은 "몇 년 전에 이곳에 원전을 추진하다가 사업이 중단됐는데 이참에 원전이 이곳에 와야 한다"고 밝혔다.
마을 주민들은 전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방문했을 때도 이같이 건의했다고 전했다.
이 마을 입구에는 '영덕수소&원전추진연합회' 명의로 내건 "인구감소 소득감소 원전만이 답이다"란 현수막이 있었다.
이 마을과 인접한 해안마을인 영덕읍 석리에서도 이런 분위기가 감지된다.
마을 곳곳에는 "석리마을 주민은 원전유치에 100% 찬성한다"라거나 "탈원전은 불법이다. 기존 선정된 부지에 웬 또 부지선정?"이란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그러나 일각에선 이 같은 의견이 다수라고 보기 어렵다는 목소리도 있다.
정부는 지난 2월 신규 원전 2기 도입 등이 담긴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보고하고 신규 원전 부지 선정에 나서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과거 원전 건설이 추진됐다가 취소된 영덕 천지 1·2호기와 강원 삼척 대진 1·2호기 부지가 후보지로 유력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천지 1·2호기와 대진 1·2호기 건설 예정 부지는 모두 전원설비 설치를 위한 전원개발사업예정구역으로까지 지정됐다.
사업자인 한수원은 일부 토지를 매입했으나 문재인 정부 시절 탈원전 정책이 추진되면서 사업을 모두 백지화했다.
당시 추진된 천지 1·2호기 부지는 영덕읍 석리, 매정리, 창포리 일대 324만여㎡다.
영덕군은 원전 유치와 관련해 아직 뚜렷한 견해를 내놓지는 않고 있다.
영덕군 관계자는 "원전과 관련해서는 일부 주민 의견이 나오는 것은 맞지만 다수 의견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아직 군 차원에서도 정한 방침은 없다"고 말했다.
sds123@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