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폭풍] 애플·삼성전자에도 '관세폭탄'…스마트폰 시장 먹구름

연합뉴스 2025-04-03 11:00:08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발표한 상호 관세가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업계에도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고된다.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인 애플, 삼성전자[005930]와 중국 업체들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수십%에 달하는 고율의 '관세 폭탄'을 맞게 됐기 때문이다.

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자사 스마트폰의 90%를 중국에서 생산하는데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중국에 대한 상호 관세율은 34%에 이른다.

중국은 앞서 마약 유입 문제로 20% 관세가 추가된 상태인 만큼 이번 상호 관세율 34%가 더해지면 사실상 54%의 관세율이 적용된다는 것이 백악관의 설명이다.

미국으로 수입되는 애플 제품에 54% 관세율이 적용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뉴욕장 마감 후 시간 외 거래에서 애플 주가는 7.54% 폭락했다.

경쟁사인 삼성전자도 웃을 수 있는 처지는 아니다.

삼성전자 스마트폰은 베트남, 인도, 브라질, 한국, 인도네시아 등으로 생산지가 다변화돼있다.

삼성전자가 공식적으로 제조국별 생산량 비율을 밝힌 바는 없지만 업계는 베트남에서 절반가량이 생산되고 인도 30%가량, 브라질, 한국 구미 공장, 인도네시아 등에서 나머지 물량을 소화하는 것으로 추산한다.

삼성전자 스마트폰이 가장 많이 생산되는 베트남에 대해 미국이 부과한 상호관세율은 46%로 중국 못지않게 고율이다.

인도 상호관세율 26%, 브라질 10%, 한국 25% 등은 중국과 베트남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갑작스러운 인상을 감내하기에 녹록지 않은 세율이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지난해 스마트폰 출하량 22%를 중국 등 공장에 외주 생산을 맡기는 ODM(제조업자개발생산) 방식으로 생산했는데, 이들 제품은 중국에 부과되는 54% 관세율 대상이므로 상대적으로 큰 타격의 대상이 됐다.

다만, ODM 제품은 중저가 모델인 갤럭시 M 및 A 시리즈가 대부분이어서 프리미엄 스마트폰이 대세인 미국 시장에서 입지는 크지 않은 편이다.

애플, 삼성전자 등 제조업체가 관세 영향으로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가격 인상에 나서면 국내 가격 책정에서도 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국내 통신업계 관계자는 다만 "미국 상호관세 부과가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분석은 아직 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전 내놓은 분석 보고서에서 올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어려운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경기 변동, 잠재적인 미국 관세 및 규정 준수 요건은 시장 역학 관계에 예측 불가능성을 더한다"고 지적했다.

국내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를 계기로 스마트폰 제조업계 전반적으로 글로벌 생산 전략을 재검토하는 방식으로 대안을 준비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삼성 vs 애플 프리미엄폰(CG)

cs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