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선트, 상호관세 취지 두고 "미국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관세전쟁 설계' 미런 "단기충격에도 장기적 국익에 도움"
(서울=연합뉴스) 고일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상호관세 발표에 반발하는 무역 상대국들을 향해 경고 신호를 보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2일(현지시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모든 국가에 보내는 충고는 보복에 나서지 말라는 것"이라며 "순순히 받아들인 뒤 어떻게 상황이 전개되는지 지켜보라"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만약 보복 조치를 한다면 상황은 더 악화할 것이지만, 보복 조치가 없다면 더 이상 올라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무역 상대국이 보복관세 등 대응조치를 취할 경우 미국은 기존에 발표한 상호관세 외에 추가로 부담을 지울 수 있다는 뜻이다.
실제로 백악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상호관세에 대응하는 국가에 대해선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로 관세율을 높일 권한이 있다고 발표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34%의 상호관세가 발표된 중국의 대응에 대한 예측을 묻는 말에는 "그들이 어떻게 할지 지켜보자"고 말했다.
국제사회는 이날 발표된 미국의 상호관세에 주요 무역 상대국들이 맞대응하면서 글로벌 통상이 보복의 악순환에 빠지는 사태를 우려하고 있다.
한편 베선트 장관은 상호관세의 취지에 대해 "장기적인 경제성장의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라며 "과대한 정부지출까지 고려한다면 미국 경제는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경제를 정상궤도로 올려놨다고 밝혔다.
스티븐 미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도 폭스 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가 장기적으로 국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다만 그는 "단기적으로는 경제적 충격이 발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런 위원장은 달러 가치를 낮추기 위해 관세를 통해 무역 상대국을 압박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미런 보고서'를 작성, 트럼프 행정부 관세전쟁의 설계자로 불린다.
kom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