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 지연' 북당진∼신탕정 345㎸ 송전선로 준공

연합뉴스 2025-04-02 16:00:03

천안·아산 차세대 디스플레이 투자에 탄력 기대

'13년 지연' 북당진∼신탕정 345㎸ 송전선로 준공

(당진=연합뉴스) 정윤덕 기자 = 국내 최장기 송전망 지연 사업인 충남 북당진∼신탕정(아산) 345㎸ 송전선로가 애초 계획보다 13년 늦게 정식 준공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오후 2시 당진시 송악읍 서해대교 인근 해상철탑에서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 준공식을 열었다.

충남 서해안 화력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 1.3GW(기가와트)를 충남 내륙과 경기 남부에 공급하는 이 송전선로는 애초 2012년 6월 준공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주민 반대와 지방자치단체 인허가 지연 등으로 2014년 6월에야 아산 구간부터 공사를 시작할 수 있었다.

총 44.6㎞의 선로 중 38.1㎞(85.4%)는 철탑 97개를 통해 지상에, 나머지 6.5㎞(14.6%)는 지하에 설치됐다.

전력 공급은 앞서 지난해 11월 22일 개시됐다.

이에 따라 연간 약 3천500억원의 전력 구매비가 절감되고,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된 천안·아산 일대 차세대 디스플레이 투자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전형식 충남도 정무부지사는 "반도체와 인공지능 등 첨단산업으로의 급속한 전환을 위해 전력 인프라 구축이 절실한 가운데 늦게나마 송전선로가 준공돼 다행"이라며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더 친환경적인 전력 인프라를 구축해나갈 수 있도록 정부와 관계기관이 많은 역할을 해주기를 바라며, 충남도 역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충남은 전국 석탄화력발전소가 가장 많이 밀집(60기 중 29기)한 지역이자 생산한 전력의 절반을 수도권 등 다른 지역에 송전하는 중요한 역할 수행하는데, 송전선로 지중화율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6위인 2.05%에 그치고 있다"며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당진에서는 당진화력∼신송산, 신당진∼북당진 송전선로(345㎸) 건설사업도 추진되고 있다.

cobr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