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범' 멍에 식민지 조선인단체 동진회 70주년…"日 보상해야"

연합뉴스 2025-04-02 14:00:04

도쿄서 어제 집회…신주쿠 고려박물관서 내달부터 조선인 전범 기획전

박래홍 동진회 회장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태평양전쟁 때 일제에 동원됐다가 전범으로 처벌받은 조선인 'B·C급 전범' 피해자 단체 동진회(同進會)가 출범 70주년을 맞아 일본 정부에 거듭 보상을 요구했다.

2일 도쿄신문에 따르면 동진회는 전날 도쿄에서 집회를 열어 피해자 보상과 명예 회복 등을 해결해 달라고 촉구했다.

B·C급 전범으로 옥살이를 한 박창호 씨의 아들인 박래홍 동진회 회장은 "70년이 지나도 해결하지 못한 것을 해결할 수 있을까"라면서도 "돌아가신 아버지에게 좋은 선물을 가지고 가고 싶다"고 말했다.

동진회는 조선인 출신 B·C급 전범 모임으로 1955년 4월 결성됐다.

태평양전쟁 관련 A급 전범은 침략전쟁을 기획·시작·수행해 '평화에 대한 죄'로 처벌받은 지휘부가, B·C급 전범은 상급자 명령 등에 따라 고문과 살인 등을 행한 사람들이 해당한다.

조선인 전범 피해자들은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군 병사나 군무원으로 강제 징집돼 연합군 포로를 수용·관리하는 감시원 등으로 복무했다.

태평양전쟁 후 상급자 명령에 따라 포로 학대 등을 했다는 이유로 B·C급 전범으로 분류된 조선인은 148명이며, 그중 23명이 사형됐다.

일본인 전범과 유족은 일본 정부로부터 연금과 위자료 등의 보상을 받았지만,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발효로 일본 국적을 상실한 조선인 전범은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보상 대상에서 제외됐다.

동진회는 역대 일본 총리들에게 서한을 보내 문제 해결을 촉구했으나, 일본 정부는 B·C급 전범 문제가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해결됐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한국인 전범 중 마지막 생존자였던 이학래 씨는 2021년 3월 세상을 떠났고, 지금은 유족들이 동진회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오랫동안 동진회를 지원해 온 우쓰미 아이코 게이센여학원대 명예교수는 집회에서 "국가(일본 정부)는 이씨 등과 협의에서 계속 '일한 협정으로 해결된 문제'라며 문전박대했다"면서 처음부터 일본 정부에 해결 의지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동진회 결성 70주년을 맞아 내달 7일부터 9월 28일까지 도쿄 신주쿠구 소재 고려박물관에서는 조선인 전범을 다룬 기획전도 열린다.

동진회 지원단체 관계자는 "전후 80년을 계기로 무언가 실현하고 싶지만, 관료와 여당의 저항이 강하다"며 조금이라도 많은 분이 조선인 전범 관련 사실을 이해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psh5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