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美 우크라 해법에 불만…"그대로 수용 불가"
(모스크바·서울=연합뉴스) 최인영 특파원 이신영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해외투자·경제협력 특사인 키릴 드미트리예프 러시아직접투자펀드(RDIF) 대표가 이주 미국을 찾아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와 만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휴전에 미온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는 러시아에 대한 인내심이 바닥나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는 가운데 양국 특사 간 만남에서 협상의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CNN 방송은 1일(현지시간) 미국 당국자 등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드미트리예프 특사가 양국 관계 강화를 논의하기 위해 이번 주 워싱턴을 찾을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러시아가 2022년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러시아 고위 관계자가 미국을 찾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소식통에 따르면 드미트리예프 특사는 과거 조 바이든 정부 시절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해 미국의 제재 대상에 오른 만큼 미국 정부는 이번 방문을 위한 비자 발급을 위해 그에 대한 제재를 일시적으로 해제할 것으로 전해진다.
드미트리예프 특사가 미국을 찾기로 했다는 소식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이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는데 불만을 표출한 지 며칠 만에 나온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NBC 방송 인터뷰에서 푸틴 대통령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비판한 것에 대해 "올바른 방향이 아니다. 매우 화가 났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휴전에 합의하지 않으면 러시아산 원유에 2차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러시아가 갖은 조건들을 내세우고 우크라이나에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선거를 실시하자고 자극하면서 휴전협상을 지연시키고 있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이다.
러시아는 이 보도 직후 "푸틴 대통령은 트럼프와 접촉에 완전히 열려 있다"며 필요하면 즉시 대화할 수 있다고 밝혔고, 결국 금주 양국 특사 간 만남이 성사되기에 이르렀다.
다만 러시아는 여전히 미국이 제시하는 우크라이나 해결안이 '근본 원인'을 다루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 받아들일수 없다는 입장이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은 이날 러시아 잡지 '국제문제' 인터뷰에서 "러시아는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해 제안한 모델과 해결책을 매우 진지하게 받아들이지만, 이 모든 것을 그대로 수용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랴브코프 차관은 미국이 일단 휴전을 이루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러시아가 중요시하는 요구 사항인 '분쟁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는 내용이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러시아는 '장기적인 평화'를 위한 휴전 조건으로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포기, 러시아 점령지 내 우크라이나군 철수 등을 요구하고 있다.
랴브코프 차관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전쟁을 끝내라는 명확한 신호를 보내는 것을 듣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에 대한 태도를 강경하게 바꾼 상황에 공개된 랴브코프 차관의 인터뷰는 러시아와 미국이 우크라이나 분쟁 해결을 둘러싸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러시아는 지난달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제안한 '30일간 휴전안'을 사실상 거부한 뒤 추가 협상을 거쳐 30일간 에너지 시설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는 것에만 동의했다. 흑해 내 휴전에도 합의했지만, 관련 제재를 먼저 해제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에너지 시설을 계속 공격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국가안보회의에서 안드레이 벨로우소프 국방장관에게 에너지 시설 공격 중단 합의 이행 상황을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대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러시아 국영방송 인터뷰에서 벨로우소프 장관이 우크라이나의 합의 위반 행동들을 브리핑했다면서 위반 목록을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에게도 전달했다고 밝혔다.
라브로프 장관은 흑해를 통한 안전한 곡물 수출을 보장하는 흑해협정 재개에 대해서는 "공허한 약속이 아니라 항구 접근, 정상적인 선적, 보험 관세 등에 관한 구체적인 행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제시했으며 이에 대한 미국의 응답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라브로프 장관은 양국 대사관 정상화와 관련한 새로운 회의를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abbi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