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국제 신용평가사인 무디스와 S&P는 최근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손해보험사에 보험금 청구가 늘어나겠지만 이는 관리 가능한 수준일 것으로 전망했다.
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무디스 레이팅스는 이번 산불로 "한국 손보사에 대한 청구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다만 "최종적인(ultimate) 손실은 관리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그 근거로 피해 지역이 주로 산악 및 농촌 지역이고 피해 자산의 상당 부분이 보험에 들지 않은 데다 손보사는 대체로 국내 산불로 인한 전체 손실의 10∼20%만 부담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보험사의 순손실은 재보험 계약, 특히 초과 손해액 재보험(excess-of-loss) 보장으로 제한될 것"이라고 말했다.
S&P 글로벌 레이팅스도 "이번 산불로 인해 손보사와 재보험사의 보험금 청구가 증가할 것"이라며 "주로 임야 및 농촌 지역에서 발생한 이번 산불로 인해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했으나, 보험사들의 보험 손실 규모는 관리 가능한 범위에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올해 추가적인 기상 이변이 발생할 경우 보험업계는 수익성 압박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S&P는 "한국은 일반적으로 7∼8월 태풍과 집중 호우로 인한 홍수 피해가 빈번하며, 자연재해가 증가할 경우 재보험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보험사들의 수익성을 더욱 압박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창윤 S&P 상무는 "자연재해가 빈번해질수록 그에 대비하는 보험에 대한 인식과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며 "국내 손해보험사 및 재보험사들은 이러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언더라이팅(보험계약 인수심사) 전문성과 리스크 관리 역량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engi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