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대오 이탈한 학생들 상대로 '감귤' 은어까지 동원해 조롱
(광주=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의대생들이 1년 만에 학교로 돌아왔지만, 먼저 복학한 소수의 '이탈자'를 향한 다수의 비난 시선이 심각한 학내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일 교육계에 따르면 전국 대부분 의과대학생이 복귀한 이날 "학교가 공지한 마감 날짜를 넘겨 등록한 의대생의 복학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의대생 집단 내부에서 제기되고 있다.
해당 주장은 '기한 내 미복귀 시 제적' 등 교육부와 대학 당국의 원칙을 믿고 일정에 맞춰 복학한 학생들이 막바지까지 '단일대오'를 유지한 다수에 의해 집단 따돌림을 당할 수 있다는 걱정을 담고 있다.
실제 의대 모집인원 증원에 반대한 의대생들이 전국적으로 동맹휴학에 나선 지난해부터 각 집단에서 이탈한 학생들은 신상 털기와 조리돌림 등 피해를 겪어 왔다.
배신자는 선배로도 인정할 수 없다는 등 동맹휴학 불참자를 향한 비난과 신상 털기가 각종 의대생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하면서 교육 당국의 고발과 경찰 수사도 이어졌다.
무리에서 벗어난 의대생은 '감귤'이라는 은어로 조롱받았는데, 그 출발점이 된 사건은 사회적인 추모 분위기가 고조되던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였다.
당시 무안국제공항 청사 내 유가족 대기 공간에서 의사 국가시험 준비 서적을 보던 의대생이 올린 사진 게시물에 감귤이 일부 나왔다.
이를 본 누리꾼이 사람을 과일로 호칭하며 "벌은 부모가 받았네" 등 도를 넘어선 비난을 쏟아냈다.
감귤은 이후 집단 사직에 불참하거나 병원으로 중도 복귀한 전공의를 비난하는 용어로도 무차별 확산했다.
이 같은 깊은 후유증 탓에 한 지방 의대생은 전날 소속 대학의 에브리타임 게시판을 통해 "사전 복귀자를 향한 괴롭힘은 예과 2년, 본과 4년, 전공의 과정 3∼5년 동안 지속될 것"이라며 "학교는 복귀율에만 주안점을 두지 말고 학생 보호에 고민해달라"고 요구했다.
대학 당국은 현재로서는 '따돌림 등 행위가 적발되면 징계하겠다', '익명성을 철저히 보장할 테니 피해 사례를 신고해달라' 등 원론적인 대응 방안만 되풀이하고 있다.
한 지방 국립대학 관계자는 "동맹휴학 이탈자를 낙인찍는 나쁜 풍토가 우려되는 상황이기는 하나, 지금은 수업 정상화에 방점을 두고 있어서 특별한 대비책을 마련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대학 관계자는 "의대 구성원 간 갈등의 해소도 정부와 의사단체 간 소통만큼이나 중요한 시점"이라며 "진솔한 소통의 자리를 마련해 1년간 이어졌던 동맹휴학의 후유증부터 먼저 털고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h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