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평 대조1구역 재개발사업 공사비 갈등, 서울시 중재로 풀었다

연합뉴스 2025-04-01 08:00:08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파견 1년 만에 2천566억원 증액 합의

서울특별시청 로고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조합원과 집행부의 지속적인 분쟁으로 공사 중단과 공사비 증액 갈등이 이어져 온 서울 은평구 대조1구역 재개발정비사업이 서울시의 중재 노력으로 약 1년 만에 정상화됐다.

서울시는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제도와 은평구의 적극적인 조정·중재로 대조1구역 재개발사업의 갈등 상황을 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정비사업이 지체되거나 갈등을 겪는 현장에 건축·도시계획·도시행정·도시정비 등 관련 분야 전문가나 변호사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집단(1개조 2∼5명)을 파견하는 제도다.

대조1구역은 조합 내분으로 인한 소송전과 집행부 공백에 따른 공사대금 지급 지연 등으로 재개발사업이 난항을 겪었다.

그 여파로 시공자가 설계변경·특화설계 등 1천776억원, 공사중단·공기연장 등 손실 비용과 물가변동 등 1천995억원을 합한 총 3천771억원을 증액 요구하면서 일반분양 및 준공 지연이 우려되는 상황이었다.

이에 서울시는 지난해 1월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 시·구·조합·시공자가 참여하는 회의를 지속해서 열어 이견을 좁혔다.

그 결과 조합의 적극적인 노력과 시공자의 양보로 2천566억원 증액으로 공사비 합의를 이뤘으며 지난달 29일 증액 관련 의결을 끝냈다.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지난해 총 15개 정비지역에 파견돼 지난달까지 미아3구역, 안암2구역, 역촌1구역, 이촌동 현대아파트 리모델링 사업, 대조1구역 등 총 8곳에서 합의안을 끌어냈다.

현재는 천호1구역, 노량진6구역 등 총 6곳에서 조정 및 중재 활동을 하고 있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조합 내부 갈등, 공사비 갈등 등의 여러 상황으로 인해 사업이 장기간 지연될 수 있는 만큼 서울시가 적극 나서서 갈등을 예방·해결해 신속한 주택공급이 이뤄지게 하겠다"고 말했다.

bryo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