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류경수 탱크사단, 병원 난입해 국군 부상병과 민간인 무차별 살육
6·25 전쟁 첫 대량학살 전쟁범죄, 월북 서울대 의사들이 인민군 안내
진실화해위, 집단학살 규정 검토…참상 전하려는 노력 강구돼야
(서울=연합뉴스) 김재현 선임기자 = 1950년 6월 28일 오전 9시쯤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뒤편 낙산에서 굉음이 울려 퍼졌다. 길음동 미아리고개에 구축한 국군의 서울 마지노선을 뚫고 혜화동으로 밀고 내려온 북한의 '류경수 탱크부대'의 총포 소리였다. 서울대병원은 삽시간에 생지옥으로 변했다. 인민군은 병동을 돌며 입원한 국군 장병들을 향해 총을 난사했다. 인민군 부상병 치료가 우선이라며 민간인 환자, 심지어 어린이도 쏴 죽였다.
인민군은 총 쏘기가 번거롭다며 환자들을 현 치과대학 뒤 석탄저장소에 끌고 가 5m 높이의 석탄 더미에 산채로 파묻었다. 병원 후문의 영안실 쪽 언덕에는 시신이 산더미처럼 쌓였다. 장맛비를 맞아 퉁퉁 불은 시신에서 악취가 진동하자 인민군은 창경궁 앞과 혜화동 로터리에 시체를 쌓아 올린 뒤 불을 질렀다. 학살 현장에서 살아남은 당시 서울대 의료진과 직원들의 한결같은 증언이다.
인민군을 병원으로 안내하고 학살을 도운 사람은 전쟁이 터지기 전 월북한 전직 서울대 의대 출신 군의관들이었다. 학살의 광풍이 휩쓸고 간 다음 날엔 병원 정문 앞에 남로당 당원으로 암약하던 의사와 간호사들이 어깨동무하며 승리의 함성을 질렀다. 이들은 동료 중에서 반공 인사를 골라낸 뒤 반동분자로 몰아 공개 처형식을 했다. 이것 말고도 대량학살이 남침 전 치밀하게 계획된 작전이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는 차고 넘친다. 인민군은 석 달 뒤 인천상륙작전으로 서울이 수복되자 의료진을 북한으로 끌고 갔다. 그들은 미아리고개를 넘어 퇴각하기 전 잔혹한 범죄를 숨기려고 환자 명단과 진료기록을 불살라 없앴다.
6·25 남침 후 북한의 첫 전쟁범죄인 서울대병원 학살 사건에 대해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가 집단 학살로 규정할지를 조만간 전체 회의에서 최종 판단할 예정이라고 한다. 전체 회의에서 재적 과반의 찬성을 얻으면 사건의 성격과 피해자 규모가 결정된다. 위원회가 사건을 집단 학살로 의결하면 정부 공식 사과와 피해 구제 권고, 역사 교육 반영 등 사후 절차가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사건 발생 75년, 진실화해위 출범(2005년) 20년 만의 일이니 늦어도 한참 늦었다. 그동안 공식 추모사업이라고는 한국일보사가 1963년 '반공·애국 유적 부활운동'의 일환으로 영안실 부근 야트막한 언덕에 '이름 모를 자유전사의 비'를 세운 게 사실상 전부라 할 정도다. 그간 역사 교과서는 물론 언론 매체에서도 다루지 않은 탓이라지만, '패배의 역사'를 애써 부각하지 않으려는 유관 부처의 책임이 크다.
뒤늦었지만, 그날의 비극이 잊히지 않도록 진상을 파악하고 후세에 전하려는 노력이 강구돼야 한다. 이참에 서울대 의대생과 의료진, 환자들은 짬이 나면 현충탑을 찾아 비석에 담긴 글을 읽어보길 권한다. '대한민국 만세'를 외치며 산화한 국군 장병과 병원에 남아 환자를 지키려다 목숨을 잃은 의료진의 목소리가 귀에 생생하게 들려올 것이다. "그들의 넋은 부를 길이 없으나 길게 빛나고 불멸의 숲속에 편히 쉬어야 하리. 겨레여. 다시는 이 땅에 그 슬픈 역사를 되풀이하지 말게 하라"는 마지막 대목에서다.
ja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