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청년금융 실태조사'…대출잔액은 3천700만원
재무 문제로는 '생활비 상승 등 지출 증가' 등 꼽아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기자 = 전체 청년층 평균 연 소득은 3천만원 수준에 그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의 월평균 카드값은 147만원, 대출을 보유한 청년층의 평균 대출잔액은 3천700만원으로 나타났다.
서민금융진흥원은 31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24년 청년금융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청년층 금융생활 현황을 분석하고 관련 정책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이뤄졌으며, 전국 19~34세 청년층 927만4천명을 대상으로 했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전체 청년층의 평균 연 소득은 3천92만원으로 집계됐다.
'2천400만원 초과 3천600만원 이하' 41.7%, '1천만원 초과 2,400만원 이하' 34.7%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월평균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사용 금액은 147만원이었다.
'25만원 미만'이 절반(50.4%)으로 가장 많았고, '100만원~200만원 미만'(16.2%), '50만원~100만원 미만'(11.2%)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청년의 44.8%(415만8천명)가 대출 경험이 있었고, 현재 대출을 보유한 청년층의 평균 대출잔액은 3천700만원으로 나타났다.
청년층 평균 신용점수는 806.3점이며, 과반(57.8%)이 '700~900점 미만' 구간이었다.
'900점 이상'이 32.1%, '500~700점 미만'이 6.7%였다.
설문조사 당시 기준 저축·투자를 하는 청년층은 76.5%이며, 월평균 금액은 94만1천원이었다.
저축·투자 상품의 보유 비율을 조사한 결과, '적금'(80.2%), '주택청약종합저축'(71.7%), '예금'(51.4%) 등 순으로 나타났다.
저축·투자 목적으로는 '주거 구입'(46.5%)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목돈 마련'(15.9%), '생계비 마련'(13.1%) 등을 답한 청년도 많았다.
청년들은 본인의 금융 지식수준을 5점 만점에 2.8점, 재무관리 수준은 2.9점으로 답하며 다소 낮게 평가했다.
현재 겪고 있는 어려운 재무 문제를 묻는 항목에는 '생활비 상승으로 인한 지출 증가'(49.9%)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전월세 보증금 마련'(7.5%), '주택 및 전세자금 대출 부담'(6.5%) 순이었다.
재무 고민에 대한 상담과 금융 정보를 얻는 경로로는 '가족'(48.8%), '온라인 커뮤니티'(44.4%), '지인'(37.9%) 등을 꼽았다.
이번 조사에는 청년도약계좌 가입 유지자 중 KCB 마이데이터 사업 참여자 6만7천명과 관련한 데이터도 담겼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자의 평균 연 소득은 3천453만원으로 전체 청년층에 비해 361만원(11.7%)이 더 많았다. 이는 자력 저축을 유도하기 위해 소득 활동을 가입요건으로 정한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카드 사용액도 월평균 201만원으로, 전체 청년층 대비 54만원 높았다. 평균 대출 잔액은 2천800만원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민금융진흥원은 청년도약계좌의 중도해지를 줄이기 위해 올해 7월 '부분인출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재연 서금원 원장은 "청년들이 적금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긴급자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sj997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