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4∼10월 말라리아 매개 모기 집중 감시

연합뉴스 2025-03-31 11:00:15

(의정부=연합뉴스) 우영식 기자 =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다음 달부터 10월까지 말라리아 감염병 예방을 위한 매개 모기 감시사업을 진행한다고 31일 밝혔다.

경기도청사

이는 말라리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모기 개체 수 변화와 원충 감염 여부를 분석해 방역 대책 수립에 활용할 예정이다.

말라리아를 매개하는 중국얼룩날개모기는 5월 말부터 개체 수가 급증하며 7∼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환자 발생 역시 이 시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경기도는 전국 47개 말라리아 위험지역 중 20개 지역이 포함돼 가장 많은 발생 건수를 기록 중이다.

지난해 국내 말라리아 신고 건수 659건 가운데 경기도에서 377건이 발생해 전체 신고 건수의 57.2%를 차지했다.

이에 도는 2019년부터 질병관리청의 말라리아 재퇴치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다음 달부터 파주, 김포, 고양, 동두천, 의정부, 포천, 연천 등 경기북부 7개 시군 16개 채집 지점에 LED 트랩을 설치해 말라리아 매개 모기를 채집하고 삼일열말라리아 원충 감염 여부를 조사할 계획이다.

수집된 자료는 질병관리청에 제공되며 말라리아 발생 경보 및 방역 대책 수립에 활용된다.

말라리아 감염 시 오한·발열이 48시간 간격으로 반복되며 두통·설사·구토·근육통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감기와 증상이 비슷해 진단이 늦어질 수 있어 모기에 물린 뒤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받아야 한다.

또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야간에는 외출을 자제하고 긴 옷을 착용하며 야외 취침 시 모기장을 사용하는 등 적극적인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wyshi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