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선교 140주년 기념 심포지엄 열려
(서울=연합뉴스) 이세원 기자 = 140년 전 헨리 아펜젤러(1858∼1902)와 호러스 언더우드(1859∼1916) 두 선교사가 한국에 도착해 본격적으로 개신교를 전파한 것을 기념하는 행사가 30일 열렸다.
두 선교사가 각각 창립한 정동제일교회와 새문안교회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정동제일교회 벧엘예배당에서 '한국선교 140주년 : 아펜젤러와 언더우드, 한국에서 꿈꾼 하나님 나라'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하고 한국 개신교 교회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했다.
참석자들은 교파가 다른 두 선교사가 협력하며 선교한 것에 주목했다.
천영태 정동제일교회 담임목사는 언더우드와 아펜젤러가 "사역에서 기쁨과 슬픔을 여러모로 함께했고 어려운 일을 함께 대처해 나갔다"며 "오늘날과 같이 한국 개신교 교단이 사분오열돼 있는 상황에서 우리가 회복해야 할 중요한 부분"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상학 새문안교회 담임목사는 이들 두 선교사가 신학적 기반이 달랐음에도 "조선에서의 선교를 위해서는 철저하게 연합하고 협력했다"며 "작은 교리의 차이로 끊임없이 갈등하고 분열하며 교권주의에 함몰된 오늘날 한국 교회가 깊이 돌아볼 대목"이라고 말했다.
임희국 장로회신학대 명예교수는 언더우드 선교사가 영한·한영 자전(字典)을 펴내는 등 서구 사회와 한국 사회의 소통을 위해 학술적인 기여를 한 사례를 이날 행사에서 소개했다. 또 당시 식자층 사이에 한글을 업신여기는 분위기가 남아 있었지만, 언더우드를 비롯한 초기 선교사들이 독자적인 문자인 한글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고 있었다고 평가했다.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이만열 숙명여대 명예교수의 앞선 저술에 의하면 미국 북감리교에서 파송된 아펜젤러는 1885년 4월 5일 오후 제물포에 도착했다. 미국 북장로교가 파송한 언더우드는 1885년 4월 2일 부산에 도착했고 그 이튿날 부산에서 출발해 아펜젤러와 같은 날 제물포에 내렸다고 한다.
sewonl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