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인권대표 "휴전 논의기간 우크라 민간인 희생 더 늘어"

연합뉴스 2025-03-29 04:00:02

어린이 즉결처형 사례도 보고…"당사국, 민간인·포로 보호의무 지켜야"

폴커 튀르크 유엔 인권최고대표

(제네바=연합뉴스) 안희 특파원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부분 휴전안을 포함해 적대행위를 멈추자고 논의하던 때 전투가 오히려 격화하고 더 많은 민간인 희생자가 나왔다고 유엔이 지적했다.

폴커 튀르크 유엔 인권최고대표는 28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해 "우크라이나 휴전 논의가 최근 몇주에 걸쳐 활발하게 진행된 것은 환영할 일이지만 현지에서의 전투는 격렬해졌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 1∼3월 민간인 사망자 수는 413명이고 부상자는 2천여명에 이른다"며 "3월 첫째 주에만 30명이 숨지고 200명이 다쳤으며 실제 피해자 수는 더 많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개전 이후 확인된 민간인 사망자만 1만2천700명, 부상자는 3만여명에 이르는 점을 거론하면서 "모든 희생은 생명의 단절과 가족의 슬픔, 잃어버린 미래를 의미하는 비극적인 일"이라고 했다.

튀르크 최고대표는 "전쟁이 3년간 이어진 지금 러시아는 여전히 민간 지역에서 장거리 미사일과 드론, 활공폭탄 등 강력한 폭발성 무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모두가 쓰는 공격용 드론도 많은 민간인 사망을 낳고 있다"고 짚었다.

우크라이나군 역시 러시아 점령지인 동부 루한스크에서 로켓 공격을 벌여 기자 3명을 포함해 6명이 숨지는 일이 빚어지기도 했다고 튀르크 최고대표는 언급했다.

아동·청소년의 피해도 문제 삼았다. 튀르크 최고대표는 "개전 후 작년 말까지 아동·청소년 669명이 숨졌고 1천833명이 부상했다"며 "240만명 넘는 어린이가 집을 떠났고 최소 200명은 러시아 지역에 강제로 보내졌다"고 전했다.

2022∼2023년에는 아동·청소년 7명이 즉결 처형됐다는 유엔 지역 사무소의 "충격적인 보고"를 접한 적도 있다고 했다.

그는 "전쟁 중에 발생한 이런 인권침해와 반인도적 행동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민간인과 전쟁 포로에 대한 보호는 필요하며 국제인도법은 완전히 준수돼야 한다"고 당사국에 촉구했다.

이어 "민간인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고 폭발성 무기 사용, 전쟁포로 및 구금된 민간인에 대한 고문·학대를 멈출 것을 요구한다"며 "부분 휴전은 긍정적 진전이지만 지금 가장 필요한 건 매일 가해지는 참혹한 고통을 끝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prayera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