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 주 = 한국국제교류재단(KF)의 지난해 발표에 따르면 세계 한류 팬은 약 2억2천5백만명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또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초월해 지구 반대편과 동시에 소통하는 '디지털 실크로드' 시대도 열리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한류 4.0'의 시대입니다. 연합뉴스 동포·다문화부 K컬처팀은 독자 여러분께 새로운 시선의 한국 문화와 K컬처를 바라보는 데 도움이 되고자 전문가 칼럼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시리즈는 매주 게재하며 영문 한류 뉴스 사이트 K 바이브에서도 영문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들'의 풍년
요즘 불특정 다수를 뜻할 때 '그들'이 유행이다. 직장의 윗사람도 '그들'로 자주 묶이고 방송의 휴먼 다큐에 나오는 순박하고 따뜻한 사람마저 그들이라 칭하기 일쑤다.
'그들'은 영어의 'they'다. 다분히 버터 냄새가 난다. 우리 어법이 아니다.
그러나, 일견 멋져 보이고 쿨하다고 여길 수도 있다. 번역 투라고 꼭 못 쓰는 것도 물론 아니다. 하지만, 어떤 안이함이 더 다가선다. 무엇보다 '그들'은 멀쩡한 사람을 타자화(他者化)해 먼 관계로 치환하고 만다.
'이들/그들/저들'은 문학적, 감성적 표현을 하고자 할 때 제한적으로 쓰는 것이다.
예컨대 "독립군의 사진을 가만히 바라본다. 이들(그들)의 눈빛에는 하나같이 결기가 서려 있다" 등이 해당된다.
'저들'은 '이들', '그들'과 같은 계열이지만 대개는 적의(敵意)를 띨 때 사용되지 않던가. 그 맥락을 되짚어보면 이들, 그들의 뉘앙스가 결코 유쾌하지 않은 것임을 알 수 있다.
◇ '포함'의 왕국
이쯤 되면 가히 '포함의 왕국'이다. 언제부터인가 언론에서 '포함', '포함하다'가 터무니없이 많이 쓰이고 있다.
'포함'은 함께 들어 있거나 넣는다는 뜻이다. 주된 위치, 기능, 역할이 아니다. 제대로 된 그 몫은 '비롯하다'가 갖고 있다.
영문 텍스트 속 'include, involve'에 자주 노출된 것이 '포함하다' 범람의 계기가 된 게 아닌가 강한 의심이 든다. 그저 제1 번역어 '포함하다'에만 함몰돼 '비롯하다'까지로의 확장적 사고에 소홀했던 탓은 아닐까.
"이 학교 운영위원 9명 중 위원장을 포함한 4명이 ○○당 출신이라고 한다."
위원장이면 당연히 우두머리로서 '비롯하다'가 격에 맞는다. 따라서 "이 학교 운영위원 9명 중 위원장을 비롯한 4명이 ○○당 출신이라고 한다"로 써야 맞는 표현이다.
"내일은 울릉도, 독도를 포함해 전국이 태풍의 영향권에 들겠습니다." 이럴 땐 '포함하다'가 옳다.
◇ '부분'이 그리 좋은가?
"횡령을 한 부분은 아니고요, 다만 예산 오용 부분에 있어서는…."
"공급망 부분은 차질이 없고요, 차제에 거래선 다변화 부분에서…."
'부분'이 대유행이다. 과거 세미나, 포럼, TV 토론 프로그램 등에서 주로 해외파 '먹물'이 많이 썼던 말이다.
그러던 것이 보통 시민한테까지 악영향을 준 듯하다. 좀 교양 있고 뭔가 배운 티를 내고 싶을 때 '부분'이 자주 등장하곤 한다. 그 배경에 영어 'a part of'가 어른거린다고 의심된다.
대안으로 '일의 어떤 특정한 부분이나 대상', '이야기나 말글 따위의 특정한 부분'을 일컫는 '대목'이 있다.
대목은 더구나 순우리말이다.
'그 점(點)', '그 면(面)'도 대체어로 괜찮은 선택이다. 다만 '면'이 어딘가 허전해 보여 '면' 대신에 '측면'을 쓰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되는데 측면은 말 그대로 한쪽 면이다.
그러니 흔히 말하는 "제가 본 측면에서는"은 적절치 않다. 자기 의견은 오롯한 것이다.
미리 기죽을 필요 없다.
"그건 사건의 측면에 해당하는 것이고요, 제가 인상적으로 본 대목은 나중에 나타난 목격자입니다."
"가해자 측에서는…."
이런 예가 바람직하다.
'그 부분은 ⇒ 그 점은, 그 대목은'
'이런 부분에서는 ⇒ 이런 면에서는, 이런 점에서는'
'비용 측면에서는 ⇒ 비용 면에서는'
◇ 허세로 쓰는 단어, since
'since'는 외래어 중에서도 변종에 속한다. 보통의 국민들이 자주 쓰면서 부지불식간에 인정하는 외래어는 대부분 한글 표기가 익숙하다는 특징이 있다.
플랫폼(platform), 베란다(veranda), 렌터카(rent a car), 클리닉(clinic) 등.
그러나 'since'는 '신스'도, '씬스'도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유독 상점 간판에 애용된다. 아직 우리나라가 선진국 소리를 듣기 전 언젠가 누군가 해외에 나갔다가 그곳 카페나 식당서 since를 보고 들여온 것이리라.
급기야 이제는 허름한 보쌈집 간판에도 'since~', 꾀죄죄한 족발집 간판에도 'since~', 조악한 카페 간판에도 'since~', 쾨쾨한 분식집 간판에도 'since~'다.
좀 우스꽝스럽고 기괴하기까지 하다. 무엇보다 거북살스러운 영어 사대주의가 어른댄다.
1996년에 점포를 열었다면 소박하게 '1996년부터', '1996년 개업(창업)', '1996년 설립(세움)', '1996년 시작' 정도로 적으면 어떨까.
'1996년 엶'이라고 하면 더 전향적일 테고.
우리말을 사랑하자는 차원을 넘어 이렇게 쓰는 것이 더 세련되고 근사하지 않은가. 굳이 since라고 쓰려면 적어도 100년쯤 된 회사나 노포는 돼야 그럴듯하지 않을까 싶다.
◇ 기라성?
각종 시상식, 혹은 여러 행사의 각계 전문가·유명인이 많이 모이는 자리에 이 말을 자주 듣게 된다.
"오늘 기라성 같은 분들이 많이 자리하셨습니다."
기라성(綺羅星)은 일본 말이다.
기(綺)는 '무늬 있는 비단', 라(羅)는 '얇고 고운 비단'이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기라성은 '비단 같은 밤하늘에 매우 빛난다'라는 의미다. '기라키라(きらきら)' , 즉, 일본말 '번쩍번쩍'이란 부사에 '星(별 성)'을 붙여 'きら星'이라는 주장도 있다.
어찌 됐든 일본식이다. 대안은?
보통은 '쟁쟁한', '걸출한'을 제시하나 토박이말 '내로라하는'이 좋아 보인다. '내로라하다'의 어근이다.
이것도 '내노라하는'으로 틀리게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가진 자들은 자꾸 상대에게 이것 내놔라. 저것 내놔라 하며 당치 않은 오만과 객기를 자꾸 부려 그런가?
아무튼 '기라성'은 이제 그만 쓸 일이다. 단어의 생김새도 그렇고 어감도 그렇고, 왠지 일본적이지 않나?
강성곤 현 KBS 한국어진흥원 운영위원
▲ 전 KBS 아나운서. ▲ 정부언론공동외래어심의위원회 위원 역임. ▲ 현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언어특위 위원. ▲ 전 건국대·숙명여대·중앙대·한양대 겸임교수. ▲ 현 가천대 특임교수.
* 더 자세한 내용은 강성곤 위원의 저서 '정확한 말, 세련된 말, 배려의 말', '한국어 발음 실용 소사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정리 : 이세영 기자>
sev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