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병 북한군' 관련 주목…"北과 군사·군사기술 부문에서 협력중"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과 관련해 북한과 중국 등 그간 밀착해온 우호국과 협력할 준비가 됐다는 입장을 밝혔다.
28일(현지시간) 러시아 타스,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 최북서단 무르만스크를 방문한 자리에서 우크라 휴전 협상과 관련해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어떤 움직임도 환영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우리는 이를 위해 노력하는 어떤 파트너와도 협력할 것"이라며 "이것은 미국만이 아니다. 중국, 인도, 브라질, 남아공 등 모든 브릭스 국가와 다른 나라들이 있으며, 북한도 포함된다"고 꼽았다.
이 같은 발언은 미국의 중재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휴전을 위한 간접 협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향후 휴전협상 과정에서 파병 북한군 문제도 주요 이슈가 될수 있는 상황이어서 주목된다.
특히 러시아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올해 러시아 방문이 준비되고 있다고 밝힌 상황이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북한과 군사기술 등의 분야에서 협력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그는 지난해 6월 북한과 러시아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한 것을 재차 언급하면서 "제4조는 우리가 서로를 지원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하고 있다"면서 "(북한과) 군사 및 군사기술 부문에서 이같은 협력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제4조는 "쌍방중 어느 일방이 개별적인 국가 또는 여러 국가들로부터 무력침공을 받아 전쟁상태에 처하게 되는 경우 타방은 유엔헌장 제51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러시아연방의 법에 준하여 지체없이 자기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수단으로 군사적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푸틴 대통령은 이어 우크라이나에 차기 대선 및 휴전 협정 서명을 위해 임시정부를 수립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그는 "유엔, 미국, 유럽 국가들 및 우리 파트너들의 지원 아래 우크라이나에 임시 정부가 들어설 수 있다. 이는 민주적 선거를 실시하고, 국민의 신뢰를 받을 정부가 들어서기 위한 것"이라며 "그 다음에는 평화 조약과 관련해 그들과 대화를 시작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배제하기 위한 정권교체 필요성을 압박한 것으로 풀이된다.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5월 이전 대선을 치러야 했지만 러시아의 침공으로 계엄령이 선포돼 선거가 무기한 연기된 상태다.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 휴전 협상에서 유럽 동맹국을 사실상 '패싱'하고 러시아와 밀착해온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서는 우호적 발언을 이어갔다.
푸틴 대통령은 "내 생각에는 미국의 새 대통령은 수많은 이유로 갈등을 끝내기를 진심으로 바란다"면서 전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접촉을 꺼렸던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와 직접 대화하려고 노력하는 점으로 볼 때 그가 평화를 바란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그러면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포함해 어떤 갈등에서도 "평화적인 수단으로 평화적 해결"을 선호한다면서 다만 "우리의 비용으로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휴전협상과 맞물린 전황과 관련해서는 "전체 전선을 따라 우리 군대가 전략적 주도권을 갖고 있다"면서 목표 달성을 위해 "끈기 있고 지체 없이" 전진 중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푸틴 대통령은 무르만스크 항구도시에서 핵 동력 잠수함 '야센-M' 해군들을 만나 격려했다.
앞서 그는 '북극-대화의 영토' 포럼에 참석해 트럼프 대통령의 그린란드 편입 계획에 대해 "미국 새 행정부의 터무니없는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산"이라면서 "러시아는 북극에서 누구도 위협한 적이 없지만 상황의 발전을 면밀히 주시하며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newglas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