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정예부대 교전 중…쿠르스크 후퇴 타개책인 듯
(제네바=연합뉴스) 안희 특파원 = 우크라이나가 작년 8월 진입한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에서의 전술적 수세를 타개하기 위해 인접 지역인 벨고로드로 침투해 작전을 벌이고 있다.
뱌체슬라프 글래드코프 벨고로드 주지사는 27일(현지시간) 텔레그램 메시지를 통해 "지난 하루 동안 우크라이나군이 포탄 161발과 드론 39대를 동원해 벨고로드 내 6개 지역을 공격했으며 민간인 1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군은 포격과 드론 공습으로 벨고로드 내 러시아군의 지휘소와 교량, 군수창고 등을 정밀 타격했다. 목표물을 보면 군사 작전을 전개하려는 듯한 양상이다. 우크라이나군 소규모 정예부대는 이미 일주일 넘게 벨고로드에 침투해 작전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군은 이런 피해가 발생했어도 국경을 지키고 있다는 입장이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미국 전쟁연구소(ISW)를 인용해 벨고로드 내 데미도프카, 프리레세, 포포프카 등 마을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벨고로드는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맞댄 러시아 서부 지역이다. 작년 8월 우크라이나군이 진입한 쿠르스크와도 이웃한 땅이다. 우크라이나군이 소규모 병력이지만 쿠르스크에 이어 두번째로 러시아 영토인 벨고로드에도 새로 진입했다는 것이다.
우크라이나군은 벨고로드 진입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았다. 다만 자국 접경 지역인 동북부 수미로 러시아군이 진격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전술적 조처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의 벨고로드 진입은 쿠르스크에서의 수세를 타개하고 전선을 다변화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최근 미국의 중재로 에너지 시설 및 흑해에서의 부분 휴전에 합의했지만 지상 작전은 휴전 범위가 아니다.
러시아군은 전면 휴전에 합의하기 전까지 자국 영토로 진입한 우크라이나를 모두 쫓아내고 도네츠크와 루한스크를 비롯한 기존 우크라이나 점령지는 최대한 넓히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특히 쿠르스크에서 공세를 강화해 우크라이나에 내줬던 지역을 70% 이상 탈환한 상태다. 아울러 국경 너머인 수미 등지로 군을 진입시키는 등 쿠르스크에서 버티고 있는 우크라이나군을 고립시키려는 작전이 한창이다.
우크라이나군의 벨고로드 작전은 쿠르스크 탈환에 집중하던 러시아군의 병력을 분산시키고 향후 정전 협상에서의 협상 카드를 추가 확보하려는 의도라는 게 군사 전문가들의 평가다.
올레시아 호리아이노바 우크라이나 안보협력센터 공동설립자는 텔레그래프에 "러시아 방어선을 새로 뚫은 우크라이나군은 전술적 위치를 개선하고 주도권을 다시 확보했다"며 "러시아가 자신의 계획을 강요하지 못하게 만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런 우크라이나군의 작전 성패는 시간에 좌우된다는 분석도 뒤따른다.
작년 8월 쿠르스크 기습 당시엔 한 달도 안 돼 1천300㎢를 점령할 정도로 우크라이나군의 진격 속도가 빨랐지만 이번 벨고로드 작전은 진격이 더디다는 점 때문이다.
부족한 병력을 추가 투입하기 어려운 데다 미국의 지원을 얻기 어려운 상황이므로 단기간에 유의미한 전과를 올리지 못하면 또다시 수세에 몰릴 거라는 지적이 나온다.
prayera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