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계획 유출논란 와중에…"美핵심 안보라인 연락처 온라인 유출"

연합뉴스 2025-03-27 18:00:12

獨슈피겔 "美 안보보좌관·국방장관·DNI국장 등 개인정보 접근가능"

美NSC "2019년에 이미 변경 조치" 해명

(서울=연합뉴스) 현윤경 기자 = 미국 정부 고위 안보 당국자들이 민간 메신저 채팅방에서 전쟁계획을 논의하고 이를 유출했다는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이번 일에 연루된 미 정부의 핵심 안보라인의 연락처가 온라인에 노출돼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AFP통신에 따르면 독일 유력 매체 슈피겔은 26일(현지시간) 상업적인 데이터 검색 업체나 온라인상에 방치된 해킹된 데이터 등을 통해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DNI) 국장의 개인 이메일 주소와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대부분 현재 사용 중인 것으로 알려진 이들의 휴대전화 번호나 이메일 주소는 일부 경우에는 인스타그램이나 구인 플랫폼 링크트인 프로필,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앱 등과 연동돼 있다고 슈피겔은 설명했다

왈츠 보좌관과 개버드 국장의 전화 번호는 메신저앱인 왓츠앱, 시그널과 연동돼 있다고 슈피겔은 덧붙였다.

슈피겔은 이들 고위 안보라인의 개인 연락처가 온라인에 노출된 것은 그들의 기기에 스파이웨어가 설치됐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최근 도마 위에 오른 지난 15일 고위 안보라인의 시그널 채팅방 논의 때에도 외국 요원이 스파이 활동을 하는 것도 가능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왈츠 보좌관은 예멘 후티 반군을 겨냥한 폭격 계획이 공유된 당시 시그널 채팅방에 실수로 미 잡지 애틀랜틱의 제프리 골드버그 편집장을 초대한 것으로 드러나며 헤그세스 장관과 함께 사퇴 압박까지 받고 있다.

슈피겔은 개인 정보가 유출된 왈츠 보좌관 등 3명의 고위 관료에서 의견을 물었으나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전했다.

AFP에 따르면, 미 국가안보위원회(NSC)는 슈피겔이 언급한 왈츠 보좌관의 계정과 비밀번호는 2019년에 이미 변경 조치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ykhyun1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