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신탁재산 1천782조원으로 5.1%↑…신탁보수는 11.8%↓

연합뉴스 2025-03-27 08:00:02

랩·신탁 사태와 ELS 사태 영향…금감원 "리스크 관리 강화"

금융감독원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작년 퇴직연금 확대로 신탁 규모가 1천782조원으로 5%가량 늘어났으나, 금융사들이 벌어들인 신탁 보수는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신탁업 영업실적(잠정)' 자료에 따르면 작년 말 신탁회사 60곳의 총 수탁고는 1천378조1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 5.1% 증가했다.

업권별로 보면 46개 겸영 신탁회사(은행·증권·보험)의 수탁고는 951조1천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4.7% 증가했다.

은행이 648조1천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2.5%, 증권사는 275조1천억원으로 8.8%, 보험사는 27조9천억원으로 17.2% 증가했다.

14개 전업 부동산신탁사 수탁고는 427조원으로 전년 말 대비 6.2% 증가했다.

수탁고 기준으로 업권별 점유율은 은행 47.0%, 부동산신탁사 31.0%, 증권 20.0%, 보험 2.0% 순이다.

신탁 재산별로 보면 금전신탁(632조8천억원)이 퇴직연금, 수시입출금신탁 등을 중심으로 5.2% 증가했다.

다만 채권형 랩·신탁에 대한 불법 자전거래 적발 등 영향으로 증권사의 채권형 수탁고가 전년 대비 8조7천억원 감소했고, 주가연계신탁도 은행의 홍콩H지수를 포함한 지수형 주가연계신탁 판매 급감으로 18조6천억원 감소했다.

재산신탁(744조5천억원)은 부동산담보신탁, 금전채권신탁을 중심으로 5.1% 증가했다.

작년에 금융사들이 벌어들인 신탁보수는 총 2조629억원으로 전년 대비 11.8% 감소했다. 금전신탁 중에는 주가연계신탁 보수가, 부동산신탁 중에는 부동산신탁사의 관리형토지신탁 보수가 크게 감소한 영향이다.

금감원은 "인구 고령화 등에 따른 퇴직연금 확대로 전체 수탁고는 증가했으나 채권 랩·신탁 감소와 주가연계증권(ELS) 사태 등 영향으로 전체 신탁 보수는 오히려 감소했다"며 "부동산 경기 호황기에 수탁고 증가를 주도했던 관리형 토지신탁도 경기침체 시 급격한 보수 악화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금감원은 신탁사 리스크관리를 강화하면서 특히 부동산 신탁사의 토지 신탁과 관련한 건전성 감독을 강화할 예정이다.

srcha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