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재난재해·분쟁, 즉흥적 대비 안돼"…전략물자 비축도 추진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유럽연합(EU)이 팬데믹과 재난재해에서 전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황의 위기에 대비하기 위한 범유럽 차원의 통합 전략을 추진한다.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26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첫 '안보 집행위원단 회의'를 열고 '위기대비 연합 전략'(Preparedness Union Strategy)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EU 차원에서 처음 수립된 이 전략은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사이버·하이브리드 공격, 재난재해 등 광범위한 위기에 대한 통합적이며 체계적 대비를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략에 따르면 병원·학교·교통·통신 등 필수 공공 서비스 부문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된다. 위험 예측을 위한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과 의약품과 같은 핵심 물자 비축·관리가 추진된다.
현재는 회원국별로 분산된 위기 대응 방식을 보완하기 위해 'EU 위기대응 허브'도 신설된다.
이번 전략은 EU와 회원국 정부 차원은 물론 민간 기업, 시민사회를 아우르는 전 사회적 대비 체계 마련에 방점을 둔 것도 특징이다.
특히 집행위는 모든 회원국이 각자 사정에 맞춰 모든 시민이 최악 상황에서도 최소 72시간은 자급자족하는 '생존키트'를 구비할 수 있게 하라고 강력히 권고했다. 긴급 대피소 확충·안내 등에 관한 지침도 제시했다.
민군 협력 강화를 목표로 EU 전역에 걸친 정기적 대비 훈련도 추진된다. 범유럽 민방위 훈련인 셈이다.
EU 고위 당국자는 백그라운드 브리핑(익명 전제 대언론 설명)에서 "부문별 대비 훈련은 이미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는데, 이를 회원국을 아우르며 포괄적인 방식으로 통합하는 게 목표"라며 일반 시민사회 참여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위기 불감증이 만연한 젊은층의 '사고 전환'을 위해 위기 대비와 관련한 교육을 교과과정에 넣고 일명 'EU 위기 대비의 날'도 지정하기로 했다.
지난해 특별 고문 자격으로 사울리 니니스퇴 전 핀란드 대통령이 작성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수립된 이 전략은 코로나19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을 겪으며 '평시 대비 체계' 강화가 필요하다는 우려를 반영했다.
앞서 범유럽 차원의 방위태세 강화 로드맵을 담은 국방백서인 '대비태세 2030'의 연장선이기도 하다.
집행위는 전략 추진을 위해 기존 예산과 기금 활용 방안을 검토하는 한편 곧 시작될 장기 예산안인 다년간지출예산(MFF) 편성 시에도 필요한 예산을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아자 라비브 평등·대비·위기관리 담당 집행위원은 기자회견에서 "이미 강력한 위기 대응 도구를 갖추고는 있지만 즉흥적 대응에만 머물러선 안 된다"며 "더 능동적이며 조율된 방식으로 위협을 조기에 식별하고 신속히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hi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