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서류 제로화' 올해 900종→내년 1천498종…로봇·드론 활용 주소기반 신산업 활성화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올해는 공공 부문에서도 민간 기업처럼 인공지능(AI)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업무 기반이 마련된다.
14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5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에 따르면 행안부는 올 상반기 공공부문의 일하는 방식 개선, 대민서비스 혁신, 사회문제 해결에 AI 활용도를 높이도록 '공공부문 AI 대전환(Gov AX) 종합대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AI 영향평가·윤리원칙, AI 활용 저해 사전평가 등을 담아 '데이터기반행정법' 개정에도 나선다.
행안부는 기관별로 AI를 업무에 활용하면서 중복 개발작업을 방지하고, 표준화하기 위한 '범정부 AI 공통 기반'도 마련한다. 올해 공통 기반을 구현하고, 2026년 '범정부 AI 활용 서비스'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능형 업무관리플랫폼'과 'AI 공통지원서비스' 등 AI를 활용하는 각종 시스템도 구축한다.
기관별로 분산된 AI 학습용 데이터 약 25만건을 수집·축적해 모든 기관이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공유데이터 플랫폼' 구축 작업도 올해까지 마무리한다.
국민이 편리한 디지털서비스도 확대된다.
행안부는 작년 12월 9개 지자체에서 시범 도입한 모바일 주민등록증 서비스를 올 1분기 내 전국 모든 지자체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확대한다. 국내 거주 외국인을 위한 '모바일 외국인등록증'도 법무부와 협의해 발급에 나선다.
작년부터 추진해온 '구비서류 제로화'는 2024년 421종에서 올해 900종의 민원서류로 확대된다. 2026년에는 1천498종의 공공서비스에서 구비서류 없는 민원이 가능해진다.
올 상반기에는 국민이 각종 공공서비스를 한 곳에서 이용할 수 있는 '범정부 서비스 통합창구'가 마련된다. 국민이 친숙하고 편리한 민간 앱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하는 '디지털서비스 개방' 작업도 작년 24종에서 올해 59종으로 늘어난다.
아울러 주차장 주소정보 구축, 도서·산간 드론배달점 설치, 시설 출입구 정보 등록 등 로봇·드롯을 활용한 주소 기반 신산업도 활성화한다.
2023년말 민원 현장을 마비시켰던 디지털행정서비스 장애를 예방하고, 안정성을 확보하는 작업도 지속 추진한다.
행안부는 이달 대규모 정보시스템 장애에 대비한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을 시행하고, 기관별 실무 매뉴얼 수립에 들어간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마련된 디지털안전상황실을 통한 중앙·지자체·공공기관 디지털행정서비스 상황 통합관리에도 만전을 기한다.
정영준 행안부 기획조정실장은 전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안정적 국정운영을 위해서는 행정서비스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며 "국민이 중단없이 디지털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eddi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