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보고서…"한의약 제품, 수출 다각화에 도움 될 것"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보건의료 패러다임이 예방 중심으로 변화하고 의료비 절감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전통 의약 산업이 새로운 수출시장으로 떠오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6일 발간한 '글로벌 전통 의약 시대, 한의약 산업 경쟁력 분석과 수출 촉진 전략' 보고서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전통 의약 시장은 지난 2022년 약 5천186억달러 규모에서 오는 2027년 약 7천682억달러 규모로 커지며 연평균 8.2%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전망이다.
보고서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전통 의약이 의료비 절감 및 만성질환 예방에 효과적인 수단이라며 사용을 권장하고 있고, 세계 주요국도 그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글로벌 전통 의약 시장에서는 중국(동인당·운남백약그룹), 인도(히말라야·다부르), 일본(쯔무라), 독일(벨레다) 등이 글로벌 기업을 육성하며 시장을 키우고 있다.
보고서는 전통 의약이 최근 '웰니스'(웰빙·행복·건강) 트렌드와 결합해 서구의 고소득층 소비자를 중심으로 소비가 꾸준히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북미 시장의 경우 코로나19 팬데믹에도 전통 의약 시장이 꺾이지 않고 성장한 만큼 앞으로 그 규모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전통 의약(한의약) 시장의 규모도 2017년 약 11조원에서 2021년 약 12조6천억원 규모로 4년 만에 약 14.8%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보고서는 한의학을 활용한 의료 서비스를 받기 위해 한국을 방문하는 의료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어 새로운 수요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한의약 제품 수출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봤다.
무역협회가 한의약 기업 231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서도 56.7%가 전통 의약에 관한 관심 및 수요 증가를 체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64.1%는 이로 인해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고도 했다. 다만, 조사 참여 기업 가운데 수출을 진행하고 있는 곳은 26.4%에 그쳤다.
수출을 진행하지 못하는 가장 이유(복수 응답)는 해외시장 및 수출 관련 정보 부족(89.4%), 자금 부족(30.6%), 상이한 국가별 인증 기준(25.3%) 등의 순이었다.
임지훈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전통 의약 시장에서 한국의 수출은 경쟁국인 중국과 인도 등에 크게 뒤처지지만, 원료를 가공해 응용한 제품 분야에 경쟁력이 있어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며 "한의약을 활용해 천연물 신약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제품군을 확대한다면 한국의 수출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k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