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반도체 수출지형도 대변화…중 의존 낮아지고 미·대만 비중 커져

연합뉴스 2025-01-05 09:00:06

중·홍콩 61%→52%, 미·대만 14%→22%, 베트남 12→13%

미중 반도체 전쟁, 미 선도 AI 붐, IT 제조업 탈중국 흐름 반영

"다변화 측면 긍정적"…'범용 반도체 자립' 중국 수출 비중 더 내려갈 듯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생산 라인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최근 수년에 걸쳐 대중국 반도체 수출 의존도가 상당히 낮아지고 미국, 대만, 베트남으로 수출 비중은 증가하는 등 한국의 반도체 수출 지형도가 크게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중 '반도체 전쟁'이 초래한 세계 시장 재편, AI 혁명을 선도하는 미국의 반도체 수요 급증, 주요 글로벌 IT 제조 기업의 탈중국 흐름 등 시대적인 조류가 한국 반도체 수출 지형도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5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2024년 반도체 수출액은 1천419억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최근 수년간 수출 지역별 비중을 보면, 전통적으로 수출 비중이 큰 중국 의존도가 상당 부분 내려갔다. 대신 미국, 대만, 베트남의 비중은 높아졌다.

우선 중국, 홍콩을 합친 비중은 2020년 61.1%에서 작년(1∼11월) 51.7%로 9%포인트 이상 낮아졌다.

중국과 홍콩을 분리해도 중국 비중은 40.2%에서 33.3%로, 홍콩 비중은 20.9%에서 18.4%로 떨어졌다.

업계에서는 중국의 특별행정구인 홍콩으로 수출되는 반도체 대부분이 재교역 형태로 중국에 들어가는 것으로 본다.

미국 수출 비중은 2020년 7.5%에서 2024년 7.2%로 대체로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최종 고객인 엔비디아에 공급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가 수출되는 대만까지 넣으면 실질적으로 미국으로 수출되는 반도체 비중은 더 높아졌다.

대만 수출 비중은 2020년 6.4%에 그쳤지만 2024년에는 14.5%로 급상승했다.

한국의 대만 반도체 수출 비중 증가 흐름은 작년부터 두드러졌다. 작년 1∼11월 한국의 대만 반도체 수출액은 185억3천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19.2% 급증했다.

이는 SK하이닉스의 엔비디아향 HBM 판매액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영향이 컸다. 통계상 SK하이닉스의 HBM 공급은 미국 수출이 아닌 중간 제조 기지인 대만 수출로 잡힌다.

HBM 생산 현장 점검하는 최태원 회장

팹리스 업체인 엔비디아의 주문을 받은 TSMC는 대만 내 패키징 공장에서 자사가 앞서 제조한 GPU와 한국에서 온 HBM을 함께 패키징해 최종적으로 AI 가속기 제품을 제작, 엔비디아에 납품한다.

이에 미국과 미국의 '반도체 동맹'인 대만까지 합친 한국의 수출 비중은 2020년 13.9%에서 21.7%로 8%포인트가량 높아졌다.

세계 IT 제조 기업들의 중국 의존 축소 흐름과 맞물려 한국 반도체의 베트남 수출 비중도 유의미하게 높아진 점도 주목된다.

베트남 수출 비중은 2020년 11.6%에서 2024년 12.9%로 높아졌다. 이는 삼성전자의 IT 제품 생산 거점 이동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한때 자사의 전체 휴대전화의 17%를 생산하던 중국 후이저우 공장 문을 2019년 닫았고 해외 생산 거점을 베트남으로 옮겼다. 이에 따라 기존에 중국으로 가던 메모리 등 스마트폰 중간재가 베트남으로 수출됐다.

세계 메모리 시장을 좌우하는 한국의 반도체 수출 지형도 변화는 미중 '반도체 전쟁', 미국 주도의 AI 데이터 센터 투자 붐 등 큰 산업 변화를 반영한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아울러 세계 제조업 기업의 탈중국 흐름 가속화, 범용 메모리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반도체 자립 강화 등의 영향으로 한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비중은 향후 더 낮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미중 갈등 심화와 이로 인한 세계 반도체 시장 변화가 한국의 반도체 수출 지형 변화의 큰 배경"이라며 "장기적으로 다국적 제조 기업들이 중국에서 탈출해 동남아, 인도 등으로 가고 있어 한국의 대중국 수출 비중은 더욱 낮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지나치게 높던 중국 의존도가 낮아지고 수출 대상국이 다변화하는 흐름은 장기적으로 한국 반도체 산업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장상식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세계 반도체 산업 분절화, 중국 외 지역으로의 IT 생산 기지 조정 등이 한국 반도체 수출 지형에 영향을 주고 있다"며 "앞으로 어차피 중국과는 반도체 산업에서도 기존의 상호 보완 구도에서 경쟁적 구도로 바뀌기 때문에 반도체 수출국도 중국 외로 더 넓어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표1] 한국의 주요 지역별 반도체 수출액

단위 : 백만달러

※ 자료 : 한국무역협회 K-stat [표2] 한국의 주요 지역별 반도체 수출 비중

단위 : %

※ 자료 : 한국무역협회 K-stat

ch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