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디자인포럼 특별대담…"디자인 혁신, 10년 뒤 보편화될 것"
레드닷 회장 "서울 자체가 하나의 디자인도시로 발전…미래도시 잠재력"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대한민국의 성장엔진 역할을 하는 서울시가 창조·뷰티 산업과 관련해 어떻게 디자인을 활용해야 한 차원 높은 브랜딩을 할 수 있을까요?"(오세훈 서울시장)
"아름다운 방을 만들면 사람들이 방을 깨끗하게 쓰는 것처럼 주변 환경에 맞춰지게 되죠. 서울시가 건축물을 통해 아름답고 흥미로운 공간을 만들어낸다면 뷰티의 메카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입니다."(피터 젝 레드닷 회장)
27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2024 서울디자인국제포럼'의 특별대담 진행 도중 디자인을 통한 도시경쟁력 강화 방안과 관련해 오세훈 시장과 피터 젝 레드닷 회장은 이런 대화를 주고받았다.
오 시장은 "올리브영 같은 매장에 가면 외국인 관광객 가족이 1천만원어치 화장품 쇼핑을 해간다고 한다"며 "서울시가 명실공히 전 세계 뷰티 수도로서의 면모를 갖춰가기 시작한 것"이라고 운을 뗐다.
이어 "아름답고 멋진 DDP 같은 건축물이 없는 도시에서 뷰티 브랜딩이 가능하겠나"라고 반문하며 "DDP가 생겨난 이후 아름다운 건축을 꿈꾸는 분들이 늘어났다는 것이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자평했다.
오 시장은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인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에 여의나루역 러너스테이션을 출품하고 싶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개성과 콘셉트가 있는 지하철역이 올해 몇 개 만들어지기 시작해 내년까지 많은 변화가 생길 것"이라며 "이처럼 디자인이 일상 혁명에 녹아드는 도시는 찾기 힘들 것이라고 자부한다"고 말했다.
젝 회장은 서울이 국제산업디자인단체총연합회(ICSID)로부터 '2010 세계디자인수도'로 선정됐던 사실을 언급하며 "당시에도 서울이 미래도시로 발전해나갈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느꼈다. 현재 서울 자체가 하나의 디자인도시로 발전했다"고 평가했다.
젝 회장은 레드닷 수상 작품들을 모아 DDP에서 전시하자는 오 시장의 제안에 "예스(yes)"라고 답하기도 했다.
대담에는 DDP 설계를 맡았던 자하 하디드의 건축사무소에 소속된 크레이그 카이너 수석도 참여했다.
카이너 수석은 DDP가 개관 후 10년간 누적 방문객이 1억명을 돌파했다는 진행자의 말에 "예상을 뛰어넘는 놀라운 수치다. 방문객 수로만 보면 성공적이라고 볼 수 있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그는 DDP 건설 과정에서 있었던 반대 여론을 떠올린 듯 "비전형적인 장소를 만들고 시대를 앞서가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은 논란을 불러일으키더라도 문화적으로 굉장히 중요하다"면서 "우리는 정체돼선 안 되고 항상 관습에 도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서울에 시민들이 기대하는 멋진 디자인의 건축물이 생겨날 수 있도록 모범 사례를 만들어가고 있다"며 "7∼8년 뒤쯤에는 하나둘 변화가 나타나고, 10년 뒤쯤에는 보편화돼 서울에 새로 지어지는 건축물들이 시민들에게 즐겁고 행복한 경험을 줄 것"이라는 말로 대담을 끝맺었다.
이어진 기조연설에서 젝 회장은 서울시청 신청사와 DDP, 서울로 7017 등을 서울시 디자인 혁신의 성과로 꼽았다.
또 현대차·기아에 유명한 글로벌 디자이너들이 합류했고 글로벌 명품 브랜드들이 잇달아 플래그십 스토어를 열었다고 소개하면서 "서울이 전 세계 인재를 끌어모으는 창의적 도시로서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해가고 있다"고 평했다.
카이너 수석도 주제발표에서 "DDP는 앞으로도 서울과 한국의 랜드마크이자 공공시설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패션, 영화, 문학 등 문화산업을 위한 열린 캔버스로 활용되면서 도전하고 탐구하는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두 연사는 최근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한국 문화를 접하고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발언해 눈길을 끌었다.
젝 회장은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을, 카이너 수석은 노벨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의 저서 '채식주의자'를 감상했다고 한다.
이날 포럼에는 디자인 분야 국내외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해 '지속가능한 도시의 미래와 디자인'을 주제로 의견을 나눴다. 숏폼 미디어 플랫폼 틱톡의 이상인 디자인 리더와 세계적 디자인 컨설팅 회사 아이디오(IDEO)의 첫 한국인 디자이너인 성정기 디렉터도 자리했다.
bryo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