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한국 최용구 기자] 글로벌 해상운임에 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연말연초 진행될 선사와 화주 간 장기 계약을 앞두고 가격 협상에 우위를 가져가려는 움직임이 분주한 모습이다. 동시에 내년 2월 해운동맹 재편을 고려한 선박 재배치 등 변수가 많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22일 기준 2160.08로 전주 대비 91.8 하락했다. 미국 동부·동남부 항만 파업 등 여파로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까지 증가하던 것이 지난 15일부터 안정세에 접어들었다.
반면 중국컨테이너운임지수(CCFI)는 지난 22일 기준 1467.91를 기록하며 전주 대비 28.94 증가했다. 항로별로 보면 미국 서안과 한국 항로를 제외한 미국 동안, 유럽, 지중해 항로 모두에서 CCFI가 상승했다.
CCFI는 단기 계약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SCFI와 다르게 6개월 이상의 장기 계약까지 통합적으로 고려한 지수다.
최근 중소형 선사들이 미국 서부에서 신규 서비스를 늘리면서 운임을 내렸다는 분석도 나온다. 고객 확보를 위해 운임을 낮게 잡은 영향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중소 선사와 대형 선사 간 운임 격차가 1TEU(20피트 분량 컨테이너 1대분)당 1000달러 이상 벌어진 사례도 파악된 것으로 전해진다.
홍해 사태 등 긴장 국면으로 폭증했던 해상운임도 안정세 하향안정화되고 있다. 하지만 워낙 비정상적으로 올랐기 때문에 당분간은 예년 수준을 웃돌 것이란 게 중론이다.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른 관세 변수를 의식한 조기 주문과 중국발 영향으로 인해 거래 물량은 여전히 많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화주와 계약 갱신을 준비 중인 선사들이 가격 방어에 나섰다는 점에 주목한다. 향후 협상에 미칠 영향을 감안한 선사들이 운임을 끌어올리기 위한 일괄운임인상(GRI)을 시도 중이며, 임시 결항 및 포트 스킵(Port Skip) 등으로 선복(화물을 싣는 공간)량을 조절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내년 2월에 신규 해운동맹이 출범하는 것도 큰 변수로 꼽힌다. 이로 인한 운영 항로 조정, 선복 교환의 변화를 고려한 선사들이 사전 대응에 착수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운영 항로를 한바퀴 도는데 통상 8주에서 많게는 16주까지 걸리기도 한다”며 “해운동맹 재편을 감안해 미리 스케줄 조정에 나선 분위기”라고 말했다.
또 “선박의 재배치 등 발생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임시 결항 등이 잦아지면서 운임을 상승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관계자는 “화주 입장에서 선박 공급에 의문을 가지면 선사에게도 좋지 않다”면서 “상호 간 운임 협상 과정에서 어느 정도 타협할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