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재선충 감염 확산, 방제작업·수종갱신이 답일까

데일리한국 2024-11-26 12:34:15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작업. 데일리한국DB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작업. 데일리한국DB

[경남=데일리한국 박유제 기자] 경남을 비롯한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확산 추세가 멈추지 않는 소나무재선충 감염병에 대해 방제작업이나 수종갱신보다 자연에 맡겨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남환경운동연합은 26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숲이 발달하면 소나무는 쇠퇴하고 참나무 등 활엽수림으로 천이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특히 창녕군이 추진하고 있는 우포늪 소나무 고사목 전체 벌채와 수종 갱신에 대해 "실패한 소나무재선충 방제정책으로 우포늪 보호지역 내 숲을 난도질하는 것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창녕 우포늪 소나무 고사목 벌채 및 수종갱신 반대 기자회견. 사진=경남환경운동연합 제공 창녕 우포늪 소나무 고사목 벌채 및 수종갱신 반대 기자회견. 사진=경남환경운동연합 제공

창녕군은 따오기 서식처 보전과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달 낙동강유역환경청에 우포늪 습지보호지역 내 소나무류 고사목 벌채 승인을 신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내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우포늪 습지보호지역(약 854ha) 내 소나무류 고사목 4500여본을 제거하고 소나무 외 수종으로 조림사업을 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우포늪 습지보호구역 지정, 따오기 복원, 우포늪 생태모니터링 등 지속적으로 우포늪 보전활동을 해 온 경남환경운동연합은 정반대 입장이다.

환경련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산림은 숲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소나무가 생존하기 어려운 기상조건과 토질이 이뤄지고, 침엽수림이 아닌 활엽수림으로 발달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소나무재선충병 확산과 관련해서도 "소나무재선충이 소나무 외 다른 나무에는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숲의 생태계에는 문제될 게 없다"면서 소나무숲 우점종인 소나무보다 난대수종 비율이 증가했다는 국립환경과학원의 모니터링 보고서를 예로 들었다.

특히 지난 2017년까지 관리가능한 수준으로 소자무재선충 완전방제를 자신했던 산림청 방제정책이 실패한 것을 두고도 "우리나라 소나무재선충 방제정책은 일본 소나무재선충 방제정책을 베끼기한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일본은 1997년 소나무재선충특별조치법을 폐지하면서 훈증 나무주사, 약재살포 등과 같은 대규모 소나무재선충 방제는 중단하고 보존가치가 있는 유적지 등의 중요 소나무만 방제하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그럼에도 일본 소나무재선충 피해는 해마다 줄어들어 1997년 81만㎥에서 2022년 25만㎥에 그쳤는데, 일본이 중단한 정책을 제대로 된 평가와 재검토 없이 산림생태계만 파괴할 수 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한편 국립산림과학원과 경북대학교 임학과의 ‘소나무림 숲가꾸기 종류가 소나무재선충병의 제어에 미치는 영향’에 의하면 숲가꾸기 한 숲이 숲가꾸기를 하지 않은 숲보다 재선충에 감염될 확률이 훨씬 높다는 것이 확인된 바 있다.

또 숲가꾸기를 하고 부산물을 방치한 숲은 재선충에 감염될 확률이 90%인데 비해 숲가꾸기를 하지않고 그대로 둔 숲은 고사율이 10%밖에 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