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러 핵탄두 제한 2026년 만료…커지는 핵 공포

연합뉴스 2024-10-17 00:00:37

뉴스타트 만료 1년반 앞두고 냉전 이후 핵 위협 최대 고조

WSJ, '한국 자체 핵무장 반대 않는다' 콜비 발언 주목

김정은, 창립60주년 김정은국방종합대학 축하방문

(서울=연합뉴스) 김경희 기자 = 북한의 핵 위협을 포함해 갈등으로 치닫는 국제 정세 속에서 냉전 이후 핵 위협이 다시 커지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5일(현지시간) 냉전 이후 종식하는 듯했던 핵의 악몽이 되살아나고 있다면서 "핵보유국들의 군축 노력이 지금처럼 비현실적으로 보이는 시절은 없었다"고 지목했다.

앞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지난해 11월 모든 핵실험을 금지하고 검증 체계를 강화하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 비준을 철회한 바 있다.

미러의 전략 핵탄두 제한을 골자로 한 신전략무기감축조약(New START·뉴스타트)의 경우 2026년 2월 종료될 예정이지만, 이 역시 러시아가 지난해 참여 중단을 선언한 상태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달 비핵보유국이 핵보유국의 지원을 받아 러시아를 공격하는 경우 이를 두 국가의 공동 공격으로 간주한다는 내용 등을 포함한 핵 교리 개정 방침을 밝혔다.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핵보유국인 러시아의 핵 위협이 갈수록 수위를 높여가는 셈이다.

신문은 세계 최대 핵보유국인 미국과 러시아가 양 축을 담당해 온 비확산체제 자체가 중대 위협을 맞이한 상황이라면서 북한의 핵 위협을 비롯해 중국의 빠른 핵 확장 등 복잡한 변수들이 여기에 가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입장에서 가장 큰 우려는 빠르게 핵 보유고를 키우고 있는 중국이다.

미 국방부는 중국이 현재 500개 가량 핵탄두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한다. 이는 2035년에는 러시아와 비슷한 1천500개 수준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 때문에 미러가 비공식적으로 뉴스타트를 이어갈 수 있는 양해의 토대를 마련한다 할지라도, 중국까지 가세한 다극화한 핵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내에서 자체적인 핵 강화 필요성이 대두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실제 미 하원 전략태세위원회는 지난해 보고서에서 러시아와 중국이라는 두 개의 동시다발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핵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한 바 있다.

북한의 지속적인 핵 위협 역시 장기적 대응 과제 가운데 하나다.

한미 정보당국에서는 미국의 대선을 전후한 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이 거론된다.

WSJ은 북핵 문제와 관련,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선 시 국가안보보좌관 후보로 거론되는 엘브리지 콜비 전 국방부 부차관보의 발언을 주목했다.

콜비 전 부차관보는 미국이 중국 대응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한미 동맹의 재편이 불가피하다면서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핵을 포함한 모든 옵션이 한국에 주어져야 한다고 언급했다.

신문은 김용현 국방장관 역시 자체 핵무장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면서 바이든 행정부에서 완전히 배제했던 한반도 핵자산 재배치 등 카드가 트럼프 행정부 탄생 시 탄력을 받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kyung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