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년전 유엔 결의 1701 뭐길래…美 '레바논 유일 해법' 심폐소생

연합뉴스 2024-10-12 11:00:40

2006년 안보리 만장일치 채택…'블루라인' 완충지대 유명무실

블링컨 '결의안 회생' 논의…"강제 여부가 관건"

레바논 베이루트

(서울=연합뉴스) 김경희 기자 = 헤즈볼라를 겨냥한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격이 지속되며 갈등 종식의 해법으로 그간 실효를 발휘하지 못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701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11일(현지시간) "바이든 행정부가 이스라엘의 마지막 레바논 침공을 종식했던 유엔 결의안이 이번에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지 논의하고 있다"며 "어지러운 외교적 노력의 복판에 수십년 묵은 유엔 안보리 결의안이 놓여 있다"고 전했다.

2006년 유엔 안보리가 만장일치로 승인한 결의안 1701은 당시 레바논 전쟁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전 행위 전면 중단 및 레바논 정부군 및 유엔평화유지군(UNFIL)의 남부 지역 배치 및 이와 연계한 이스라엘의 모든 병력 철수 등을 골자로 한다.

특히 항구적 휴전을 위해 이스라엘과 레바논의 국경선인 이른바 '블루라인' 존중 및 블루라인과 레바논 리타니 강 사이 완충 지대 설치 등 규정을 명시했다.

그러나 종전 이후 결의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으며 사실상 유명무실한 실패작 취급을 받아 왔다.

그럼에도 결의안 1701이 현실적으로 유일한 해법이라는 판단 아래 토니 블링컨 미 국무 장관을 비롯해 에이머스 호크스타인 백악관 중동 특사 등 핵심 인사들이 결의안을 회생시키기 위한 복원 방안을 놓고 논의를 진행 중이라는 것이다.

NYT는 결의안이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레바논 남부 국경 인근을 본거지로 삼아 온 무장단체 헤즈볼라를 애초 약속에 따라 리타니 강 뒤로 물리는 방안을 확보하는 것이 최우선 관건이라고 지목했다.

이스라엘이 레바논에서 군대를 철수해도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는 확신을 주는 것 역시 중요한 문제다.

완충지대에 유일한 주둔을 허용받은 레바논군과 UNFIL은 그간 헤즈볼라가 남부 국경 인근에서 세력을 구축하는 동안 이를 무력하게 지켜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는 긴급 상황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강제력이 전무한 UNFIL 자체의 근본적 성격에 기인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워싱턴 근동정책연구소의 매슈 레빗은 "실질적 문제는 그것이 강제될 수 있느냐"라며 미국과 아랍 국가들이 연합해 레바논군이 UN 완충지대에 충분한 수준의 군대를 주둔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제언했다.

결의안은 또한 레바논 내 모든 무장 단체들의 비무장 조항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이란의 지원을 받는 헤즈볼라의 완전한 무장 해제를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이 자체는 한층 성취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헤즈볼라 타격 이후 재정비를 시도하고 있는 이란의 시도를 차단하는 자체는 이른바 '저항의 축'의 고리를 끊어내기 위해 중요한 작업이라고 지적한다.

kyung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