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서 교육-취업-정주하는 인재' 키우는 특성화고 파격 지원

연합뉴스 2024-10-07 08:00:26

교육부, '정주율 확대' 특성화고 한곳당 최대 5년간 45억 지원

올해 10개교 선정…2027년까지 35개교로 확대

식품 품질 관리 수업 중인 한국치즈과학고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정부가 지역에서 교육부터 취업, 정주까지 하는 인재를 양성할 특성화고교에 올해부터 '파격' 지원에 나서면서 특성화고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정부는 올해부터 지방자치단체, 지역 기업 등과 손잡고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특성화고에 5년간 최대 45억원을 지원한다.

대학가에 혁신을 몰고 온 '글로컬대학'의 특성화고 버전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7일 교육부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5월 '협약형 특성화고' 10개교를 선정해 발표했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지역 기반 산업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 지역 기업, 특성화고 등이 협약을 통해 연합체를 구성하고 지역에 필요한 맞춤형 교육을 실현하는 특성화고다.

선정된 특성화고 분야는 철도, 반도체, 항공, 방산, 기업 소프트웨어, 이차전지 등 신산업 분야와 함께 관광농업, 치즈·바이오, 어선 해기사 등 지역 대표산업 분야가 두루 뽑혔다.

지역은 서울, 인천, 대전, 강원 춘천, 충남 천안, 전북 임실, 경북 포항, 경남 남해, 제주 등 9곳에 고르게 분포했다.

교육부는 특성화고 한 곳당 교육과정 개선에 20억원과 함께 1년에 추가 5억원 등 최대 5년간 총 45억원을 지원한다.

특성화고에 이같이 큰 금액을 정부가 지원하는 것은 처음이다.

학교가 지역과 손잡고 교육과정을 개편한다는 점, 큰 폭의 재정 투자가 이뤄진다는 점 때문에 정부가 대학에 5년간 1천억원을 지원하는 글로컬대와 협약형 특성화고가 비슷하다는 평이다.

특성화고에 정부가 이렇게 전폭 투자하는 것은 특성화고 졸업생의 지역 정주율이 특히 높아, 특성화고 교육과정을 제대로 설계한다면 지역 살리기 '마중물'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교육 당국의 판단 때문이다.

최창익 교육부 평생직업교육정책관은 "지자체가 눈여겨봐야 할 것은 대졸자보다 특성화고 졸업자들이 (지역) 정주율이 높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동안 특성화고와 관련해 교육청, 교육부만 노력하고 지자체가 많이 신경 쓰지 않았는데, 이번 정부 들어 추진된 글로컬대, 라이즈(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와 같이 협약형 특성화고의 주요 콘셉트 중 하나가 지역이라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선정된 협약형 특성화고들은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된 분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편해 특성화고 학생의 지역 취업률·정주율을 높이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기업, 지역 내 대학·연구소 등과 인재상을 설정하고, 산학융합 중심의 교육과정 개편·운영까지 공동으로 수행하려는 곳도 있었다.

기업은 현장실습과 졸업 후 채용, 대학은 심화·연계 교육과정과 졸업생들의 '후진학'(취업 후 대학 진학)을 통한 경력 개발을 담당하는 등 연합체 내 역할도 체계적으로 분담한다.

인공지능(AI) 수업 중인 천안여상 학생들

이와 함께 교육청은 자율적인 학교 운영을 통해, 지자체는 다양한 청년정책 사업과 연계해 졸업생의 정주를 돕는다는 방침이다.

교육부는 올해 10곳을 시작으로 2027년까지 협약형 특성화고 35개를 육성해 지역에서 시작되는 '교육혁명'을 전폭 지원한다.

특성화고에서도 이러한 변화를 반기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일반고보다 선호도가 떨어져 학령인구 감소에 생존 위협이 컸던 특성화고도, 전통산업 위주에서 신산업 위주로 교육과정 개편을 고민하던 특성화고도 모두 환영하고 있다.

항공우주 분야 협약형 특성화고로 선정된 제주 한림공고 임경선 교감은 "학교가 이제까지 토목건축·기계·장비 등 기간산업 중심이었는데, 신기술이 나오면서 학교가 정체기였다"고 말했다.

이어 "제주 지역의 전략 정책인 항공우주산업에 맞춰 특성화고의 새로운 변화의 물결이 돼 정주를 위한 선도 모델을 만들어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porqu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