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민 밀집지역 교사 57% "다문화 학생과 의사소통에 어려움"

연합뉴스 2024-09-22 07:00:07

"이주배경학생 업무지도로 교사 부담 가중…다문화교육 관련 제도기반 조성해야"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이주민 밀집지역에 있는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의 절반 이상은 한국어가 미숙한 다문화 학생(이주배경학생)과 의사소통하는 데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가 서툰 다문화 가정 학생이 늘면서 업무가 가중되는데, 이에 대한 정책적·제도적 지원이 제대로 밑받침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22일 한국교육개발원에 따르면 윤현희 연구위원은 최근 내놓은 '이주민 밀집지역 소재 학교의 실태 및 과제' 보고서에서 이주민 밀집지역에 소재한 이주배경학생 밀집학교(초·중학교) 95개교(교사 342명)를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주민 밀집지역은 전체 인구수 대비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5% 이상인 시·군, 이주배경학생 밀집학교는 이주배경학생 수가 10명 이상이고 전체 학생 대비 비율이 30% 이상인 학교를 말한다.

지난해 기준 전국 이주배경학생 밀집학교(초·중·고교)는 350개가 있다.

모의 투표하는 이주민

'이주민 밀집지역 소재 학교 운영에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76.9%(중복응답)가 '한국어를 못하는 외국인가정 학생과 중도입국학생의 증가 현상'을 꼽았다.

이어 '이주배경학생 지도로 인한 업무 가중 등 교사 소진 심화'(59.1%), '이주배경학생 밀집지역 소재 학교를 위한 정책·제도적 지원 미비'(44.5%) 순이었다.

다문화 가정 학생을 지도하는 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이주배경학생의 한국어 미숙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이라는 응답률이 57.3%를 차지했다.

'이주배경학부모와 소통의 어려움'(42.1%), '이주배경학부모의 자녀교육에 대한 무관심 등 비협조적인 태도'(36.8%) 등이 뒤를 이었다.

교사들은 단기와 중기·장기적으로 함께 추진해야 할 정책 방안으로는 이주배경학생의 학교 적응 및 학습 지원, 이주배경학부모에 대한 맞춤형 교육 지원, 이주배경학생과 비이주배경학생 모두를 위한 다문화교육 운영, 교사 전문성 개발을 꼽았다.

중·장기적으로는 이주배경학부모의 학교 교육활동과 주요 의사결정 과정 참여, 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협력 추구, 다양한 지역사회 주체의 학교 교육활동 지원이 필요하다고 봤다.

보고서는 "전체 학령인구 수는 지속해서 줄어드는 데 반해 이주배경학생 수와 비율은 꾸준히 늘고 있어 이에 대한 교육적 준비와 대응책 마련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그러나 현재 이주민밀집지역 소재 학교에서는 정상적인 교육활동 운영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학교 부담이 가중되고 교사 소진이 심화하는 문제를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주민 밀집지역 소재 학교가 정상적인 교육활동을 하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 '다문화교육 법적 기반 조성'을 설정하고, 국가 차원의 다문화교육 관련 법·제도 및 정책적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래픽] 다문화 학생 밀집학교 수 추이

e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