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업계, 온실가스 정보 공개 확대…공급망 다변화로 부담 커져

데일리한국 2024-07-03 15:26:54
지난해 3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해군사관학교에서 육해공 합동전력 공중 침투 시연이 이뤄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3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해군사관학교에서 육해공 합동전력 공중 침투 시연이 이뤄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최용구 기자] 방위산업의 지속가능경영이 주목을 받으면서 온실가스 인벤토리(목록) 구축에 관한 업계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무기 체계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측정, 기록, 산정하는 것에 혼란을 겪고 있는 것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LIG넥스원은 지난 2일 첫 번째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현대로템도 올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지난달 28일 공개했다. 각사는 보고서에 온실가스 배출 정보를 공개한다. 

사업장에서 연료를 연소하거나 운송 수단 사용 및 공정 가동, 폐기물 처리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스콥1(직접배출)으로 관리한다. 타 기관의 전기·열을 사용함으로써 배출되는 온실가스인 스콥2(간접배출)와 그 밖의 간접배출인 스콥3도 관리 대상이다. 

스콥3는 임직원의 출퇴근 및 출장, 구매한 원재료의 운송·물류 등까지 고려한 개념으로 업계의 자율 참여에 의해 공개된다. 의무 공개가 아니다 보니 뚜렷한 가이드가 없다.

LIG넥스원은 스콥1·2만을 공개하고 있으며 한국항공우주산업과 현대로템은 스콥1·2·3 모두를 공개 중이다. 아직 정형화되지 않은 스콥3를 공개하는 이유는 글로벌 공급망 때문이다. 일부 다국적 기업들은 자사와 거래하는 곳에 스콥3까지를 요구하며 저탄소 경영 능력을 평가하고 있다.

업계는 타사의 사례와 꾸준히 비교하며 새로운 방법론을 적용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온실가스 데이터 수집·산출을 위한 교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방위 산업이 보안에 민감하다는 점은 협업의 장애물로 거론된다. 

항공기, 탱크, 미사일 등 제작 방식이 고도화됨에 따라 공급망은 다변화될 전망이다. 레이더, 통신 등 기타 요소까지 복합 적용되면서 온실가스 배출원이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다는 게 중론이다. 

일부 방산기업 제조 현장에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에너지 소비량을 공장별로 모니터링하는 단계에 이제 막 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산업계 한 관계자는 “생산 쪽만 해도 수십개의 거래 업체가 있고 원자재 구입처까지 고려하면 국내외 1000여곳에 이른다”며 “영세한 협력업체들은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를 제대로 갖추긴 힘든 실정”이라고 했다. 

또 다른 한 관계자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식과 이를 인증하는 기관에 대한 공식 기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