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구덕운동장 재개발에 아파트 4개동 건축 논란

연합뉴스 2024-06-27 00:00:32

"국비·기금 조달 사업 추진" vs "아파트 난개발은 안 돼"

구덕운동장 도시재생혁신지구 사업 계획

(부산=연합뉴스) 조정호 기자 = 부산시가 구덕운동장을 축구전용 경기장과 주민체육복합시설, 아파트 등으로 재개발을 추진하는 도시재생혁신지구 사업이 논란이 되고 있다.

26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서구 구덕운동장 도시재생 혁신지구 공모 신청서를 국토교통부에 제출했다.

국토부가 주관하는 도시재생혁신지구 사업은 도시 재생 촉진을 위해 공공 주도로 쇠퇴지역 산업·주거·복지·행정 등 기능이 집적된 지역 거점을 조성하는 지구 단위 사업이다.

시는 7천99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구덕운동장 일대 7만1577㎡ 부지에 1만5천석 규모 축구전용 구장을 비롯해 문화·생활체육시설과 상업·업무시설 등을 건립한다.

시는 "오는 8월 국토부의 도시재생혁신지구 사업에 선정되면 타당성 조사와 투자심사 면제 등 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국비 250억원과 주택도시기금 4천809억원 등을 조달받아 안정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는 주민공청회, 지방의회 의견 수렴 등을 거쳐 사업계획을 수립한 뒤 오는 12월 시행계획 인가를 받아 2025년 착공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지난 23일 서구청사에서 열린 '구덕운동장 일원 도시재생혁신지구계획 공청회'에서 해당 부지에 800가구 규모 아파트 4개 동이 들어선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지역 주민은 "2019년 조성한 체육공원을 철거하고 당초 계획보다 300가구 늘어난 800가구 규모 아파트가 들어서는 것은 안 된다"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서구 주민들은 27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구덕운동장 재개발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고 아파트 난개발이 우려된다는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시는 26일 오후 서구 주민들을 대상으로 구덕운동장 도시재생혁신지구 사업 설명회를 한다.

구덕운동장은 1928년 부산 최초의 종합운동장으로 건립된 역사성을 인정받아 2020년 부산시 미래유산으로 지정됐다.

시는 이와 관련해 "구덕운동장 역사성과 정체성을 담은 역사관(기억의 공간) 등을 조성해 유무형의 가치와 상징성을 보존하겠다"고 밝혔다.

ccho@yna.co.kr